불안·초조 강박장애 진료 연평균 3.1% 상승, '지적' 피해야
  • 강박장애로 인해 진료를 받는 환자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진료환자 중 20대 연령대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다.

    불안장애의 하나인 강박장애는 원하지 않는 생각이 반복되는 강박적 사고, 이를 중화하기 위해 하는 강박적 행동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질환이다.

    10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10~2014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불안·초조를 동반한 강박장애 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2010년 2만490명에서 2014년 2만3174명으로 연평균 3.1%씩 상승했다.

    2014년 기준 전체 진료환자 중 남성은 1만3395명(57.8)으로 여성(9779명)보다 1.4배 많았다. 반면 연평균 증가율에서는 남성(2.9%)보다 여성(3.4%)이 0.5%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강박장애 환자 중 20대 비중은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다. 건강보험 적용인구 10만명당 강박장애 환자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남성은 20대 106.2명·30대 69.9명·10대 61.2명, 여성은 20대 64.1명·30대 53.3명·40대 41.1명 순으로 남녀 모두 20대 비중이 컸다.

    이선구 건보공단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20대 강박장애 환자가 많은 이유는 치료를 받지 않고 방치하다가 일상생활에 방해가 될 정도로 증상이 심해져 병원을 찾을 것으로 보인다. 미래에 대한 불안감 등의 스트레스가 작용한 영향도 있다"고 설명했다.

    강박장애 치료를 위해 입원한 환자는 2.2%(510명)으로 주로 외래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입원진료비는 2010년 16억원에서 2014년 18억원으로 연평균 3.0%, 외래는 75억원에서 88억원으로 연평균 4.2%, 약품비 등 악국은 19억원에서 25억원으로 연평균 7.4% 상승했다.

    이 교수는 "강박장애 치료는 약물 및 인지 행동치료가 있다. 예방을 위해선 성과보다는 과정을 중시하고 지적이 아닌 스스로 고쳐갈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