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2만3688가구, 지방 2만3848가구 전년대비 각각 45.5%, 40.4% 늘어국토부 "정비사업 제외 물량 지난해와 비슷… 당장 전·월세난 가중 없어"
  • ▲ 아파트 단지.ⓒ연합뉴스
    ▲ 아파트 단지.ⓒ연합뉴스

    지난달 전국 주택 인허가 실적이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지구 물량 증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2.9% 증가했다.

    국토교통부는 정비사업지구 인허가를 제외하면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미분양 증가나 주택 과잉공급을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는 견해다.

    재건축 등 정비사업 물량이 늘었지만, 이주가 뒤따르는 관리처분인가가 아니라 사업시행인가여서 당장 전·월세난을 가중하지는 않을 거라는 설명이다.

    24일 국토부에 따르면 올 1월 전국 주택 인허가 실적은 4만7536가구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3만3271가구보다 42.9% 증가했다.

    수도권 2만3688가구, 지방 2만3848가구로 지난해보다 각각 45.5%, 40.4% 늘었다.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3만3360가구, 아파트 외 주택 1만4176가구로 아파트 물량이 지난해보다 54.0%나 증가했다. 아파트 외 주택도 22.1% 늘었다.

    국토부는 1월 인허가 물량 증가가 주택 공급과잉을 부채질하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증가물량 중 30%에 해당하는 1만4265가구가 정비사업지구 물량으로, 이를 제외하면 3만4000여 가구는 지난해 같은 기간 3만1000여 가구와 유사한 수준이라는 것이다.

    지난달 정비사업 인허가 실적은 지난해 2000여 가구와 비교하면 5.5배나 많다.

    국토부 관계자는 "2011년 이후 1월 인허가 물량이 평균 5000여 가구였던 것과 비교하면 이례적으로 물량이 많지만, 행정절차 특성상 이미 접수됐던 물량이 처리되면서 늘어난 실적으로 본다"고 부연했다.

    국토부는 지난해 12월 9만8000여 가구였던 인허가 실적이 지난달 51.6% 수준으로 감소했고, 지난해 3월 이후 처음으로 인허가 물량이 5만 가구 이하로 떨어져 주택 공급과잉을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는 태도다. 지난해 말 인허가 물량도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공공물량이 늘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인허가 물량이 분양성이 떨어지는 용인, 파주 등 경기 외곽지역의 실적이라면 미분양 증가 등이 우려되지만, 수도권 재정비사업은 미분양 물량이 적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정비사업 인허가물량은 사업시행인가여서 물량 증가가 곧바로 전·월세 시장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고 덧붙였다.

    1월 착공 실적은 전국 3만1161가구로 지난해보다 4.5% 증가했다. 수도권은 1만2699가구로 지난해보다 14.5% 늘어난 반면 지방은 1만8462가구로 1.4% 감소했다.

    아파트는 1만8691가구로 지난해보다 5.7% 줄었다. 아파트 외 주택은 1만2470가구로 24.8% 늘었다.

    1월 분양 실적은 1만116가구로 지난해보다 31.3% 감소했다. 분양 실적이 감소한 것은 지난해 2월 이후 11개월 만이다.

    수도권 1092가구, 지방 9024가구로 지난해보다 각각 75.3%, 12.4% 줄었다.

    재건축·재개발 등에 따른 조합원분양은 1606가구로 지난해보다 45.3% 증가했지만, 일반분양은 7986가구로 39.0% 감소했다. 임대주택은 524가구로 0.8% 증가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올해 분양시장은 상고하저가 예상된다"며 "근거는 없지만 총선을 앞두고 분양 물량이 집중될 수 있어 살피고 있고, 월별 물량도 5만8000가구 수준으로 지난해(8만~9만 가구)처럼 많지 않으리라고 본다"고 말했다.

    입주(준공) 실적은 3만8607가구로 1년 전보다 13.4% 늘었다. 이는 2011년 통계 이후 최대치다. 수도권은 1만7626가구로 입주물량이 45.5% 증가했지만, 지방은 2만981가구로 4.4%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