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단체가 총선을 이틀 앞두고 국회를 찾아가 경제활성화법 입법을 호소했다.
     
    민생구하기 입법촉구 1000만 서명운동본부는 11일 오전 새누리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등 3당을 차례로 방문해 현재 국회에 계류중인 경제활성화법안을 조속히 통과시켜달라고 촉구했다.

     

    계류 중인 경제활성화 법안은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과 노동개혁법 등이다.

     

    이동근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총선 이후 19대 국회 잔여 임기가 5월 29일까지 남아 있다”며 “그 기간 내에라도 안되면 20대 국회에서 최우선적으로 경제활성화법을 처리해 달라는 의견을 국회에 전달했다”고 말했다.

     

    이 부회장은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과 노동개혁법 등이 남아 있는데, 이는 대기업의 이익을 위해서가 아니다”라며 “청년 일자리 창출과 제조업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신사업 활성화를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찬호 전경련 전무는 “18대 국회에서도 선거 이후에 법안을 통과시킨 전례가 있다”며 “남은 회기 동안 경제활성화법이 통과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총선을 이틀 앞두고 경제단체들이 국회에 찾아간 배경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송재희 중소기업중앙회 상근부회장은 “총선 이후 20대 국회가 들어서면 정치논리로 인해 경제활성화법이 소외될 수 있을 것 같아서 선거 이틀을 앞둔 시점이지만, 19대 국회에서 유종의 미를 거두길 바라는 측면에서 찾아갔다”고 설명했다.

     

    이동응 경영자총협회 전무는 “노동개혁법이 동과되더라도 청년 실업문제가 획기적으로 개선되지는 않겠지만, 노동개혁의 분위기를 만들자는 취지에서 꼭 통과되기를 바란다”고 읍소했다.

     

    신승관 무역협회 무역정책본부장은 “수출이 15개월째 마이너스를 보이며 부진한 상태”라며 “기업들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경제활성화법이 통과돼야 하고, 그래야 수출도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국회 방문에는 경제단체 부회장단이 함께 했다.

     

    새누리당 강봉균 선거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은 경제활성화법은 19대 국회 남은 임기 또는 20대 국회에서 우선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더불어민주당 정장선 선거대책본부장은 당내 의견이 다양하기 때문에 총선 이후 재논의 하자는 입장을 피력했다.

     

    국민의당 박선숙 사무총장과 이태규 전략홍보본부장은 정치와 경제는 분리 대응하는 것이 당의 방침이라며, 경제활성화법에 대해서는 선별적으로 검토가 가능하다는 입장을 전해왔다.

     

    경제단체들은 여야 3당 방문 후에 대한상의회관 챔버라운지(20층)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면담 결과와 각 당의 입장을 설명했다.


    한편, 경제활성화 법안 입법촉구 서명 동참자는 꾸준히 증가해 11일 낮 12시 기준 181만명을 넘어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