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왜곡 스스로 인정...'SKT-CJHV' M&A 둘러싼 갈등과 무관치 않아
  • LG유플러스의 SK텔레콤 상대 막가파식 비방전이 도를 넘어섰다.

    자영업자도 아닌 기업간 경쟁에서 시장논리에 입각한 경쟁을 거부하는 듯한 모양새다.

    최근 SKT가 정당하게 따낸 대형마트 이동통신 대리점 입점 계약을 덤핑 불법 행위로 치부하며,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소를 신청했다가 2주만에 신고를 철회한 해프닝이 일기도 했다.

    소장에 따르면, 통신 사업자들과 임대차 계약이 만료되는 이마트는 지난 1월부터 계약 연장 협상을 진행했다. 그 결과 이마트에서 60여개 대리점을 운영해오던 LG유플러스는 입점 계약 연장을 실패했다. 입찰에서 SKT가 LG유플러스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금액을 써냈기 때문.

    LG유플러스 측은 "SKT가 합리적인 시장 가격보다 2∼3배 높은 금액을 써내 사실상 덤핑(가격차별) 행위를 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주장한 바 있다.

    그러나 2주만인 지난 14일 LG유플러스가 SKT에 대한 신고 취하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지며, 사실 왜곡을 스스로 인정한 꼴이 돼 버렸다.

    LG유플러스 측은 "추가 자료 수집이 필요해 제소를 철회했으며, 자료 수집이 완료되면 법률적 재검토 후 제소 여부를 다시 판단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업계는 SKT가 정확히 얼마의 가격을 입찰 과정에서 써냈는지 불분명한 상황에서 이 같은 제소 행위는 '아니면말고'식 경쟁사 흠집내기라는 지적이다.

    통신업계는 이번 신고가 SKT의 CJ헬로비전 인수·합병을 둘러싼 갈등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SKT의 CJ헬로비전 인수·합병과 관련해서도 이 같은 원색적 공격행보를 보인 바 있다.

    특히 최근들어 LG유플러스는 노조까지 좌편향 단체인 방송통신실천행동에 섞여 'SKT-CJHV' M&A 반대 목소리를 내면서 反시장, 反자본주의에 대한 우려감을 확산시켰다.

    실제 방송통신실천행동(방송통신 공공성 강화와 이용자 권리보장을 위한 시민실천행동)은 총 소속 14개 단체로 구성돼 있는데 이 중 LGU+ 노조인 정보통신노동조합이 포함돼 있다. 현재 LGU+에는 'LG유플러스노동조합'과 '정보통신노동조합' 등 복수 노조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SKT의 CJHV 인수합병을 둘러싸고 LG유플러스의 1위 사업자 흠집내기 작업이 전방위적으로 번지고 있는 모습이다.

    'SKT-CJHV' M&A가 진행되면 '큰 것이 작은 것을 밀어낸다'는 논리로 다방면에서 SKT에 대한 막가파식 비방전에 열을 올리고 있는 것이다.

    자영업자도 아닌 기업간 경쟁에서 시장논리에 입각한 경쟁으로 사업을 이어나갈 생각을 하지 않고 사실을 왜곡, 경쟁사 흠집 내기에 치중하는 것은 비겁한 처사다. 아날로그 방식의 질 낮은 저가 경쟁의 악순환 비방전을 이젠 그만둬야 할 때다.

    아울러 미래부가 SKT의 CJHV 인수합병을 둘러싸고 최고조에 달한 통신업계 갈등이 전방위로 번지지 않도록, 조속한 용단을 내려야 할 때다.

    어떤 분야이든 정부는 관련 사안을 신속히 처리해 국민들의 혼란을 야기하지 말아야 할 의무가 있다. 정부가 중심을 잡지 못할 경우, '철강-조선-해운' 등 업계간 구조조정의 절실한 분야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