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자자들이 펀드에 가입할 때 참고하는 위험등급 제도가 실질 위험을 반영하는 방식으로 10년 만에 대폭 바뀌었다.
금융감독원은 2006년 도입한 기존 펀드 등급 제도를 대대적으로 개편해 4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기존 제도는 가입 대상 펀드의 투자 위험도를 1∼5등급으로 분류했다. 1등급이 위험도가 가장 높고, 5등급이 위험도가 가장 낮았다.
새 제도는 기존의 5개 등급을 6개 등급으로 한층 세분화했다.
1등급은 매우 높음, 2등급은 높음, 3등급은 다소 높음, 4등급은 보통, 5등급은 낮음, 6등급은 매우 낮은 위험 수준이다.
특히 펀드 등급을 나누는 주된 기준은 투자 대상 자산의 종류에서 수익률 변동성으로 변경됐다.
설정 이후 3년간 수익률을 기준으로 수익률 변동성이 25%를 초과하면 1등급, 수익률 변동성이 낮아 0.5% 이하이면 6등급으로 분류하는 방식이다.
수익률 변동성은 최근 3년 동안의 연 환산 주간 수익률의 표준편차를 구해 산출한다.
최근 3년간 펀드의 연 환산 주간 수익률이 통상적으로 얼마나 등락했는지를 보여주는 수치다.
가령 평균 수익률이 4%인 펀드의 변동성이 35%라면 이 펀드의 연환산 주간 수익률이 평균 수익률보다 35% 더 높거나 낮을 수 있다는 얘기다.
금감원이 변동성을 기준으로 펀드 위험도 평가 제도를 새롭게 마련한 것은 투자 대상 자산만을 기준으로 한 기존 제도가 펀드의 위험도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 때문이다.
아울러 기존 펀드 분류 체계에서는 설정 때 한 차례만 펀드 위험 등급을 매기면 됐다.
하지만 앞으로는 운용사가 수익률 추이에 변화가 생길 때마다 수시로 펀드 등급을 새로 매겨 시장에 알려야 한다.
금감원이 시중의 3천157개 펀드를 대상으로 새 등급 부여 상황을 조사한 결과 일률적으로 고위험(1등급)으로 분류되던 주식형 펀드가 1~4단계로 다양하게 분류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신영밸류고배당증권자투자신탁 등 고배당 주식에 장기 투자하는 펀드들은 원래 위험 자산인 주식에 투자한다는 이유로 예외 없이 1등급으로 분류됐지만 이번에는 일부 채권형 펀드 수준의 4단계로 재분류됐다.
거꾸로 모두 4등급(중·저위험)으로 분류되던 채권형 펀드 중에서도 하이일드나 신흥국채권 펀드 등은 높은 변동성 탓에 2등급으로 위험도가 올라갔다.
전체적으로는 새 분류 체계에서는 1단계 4.0%, 2단계 28.3%, 3단계 26.8%, 4단계 17.6%, 5단계 17.8%, 6단계 5.5%의 고른 위험도 분포를 보였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신흥국에 투자하는 환위험 노출 펀드는 매우 높은 변동성을 나타낸 것으로 조사됐다.
변동성 상위 10개 펀드(49.1%∼31.0%) 중 중국 투자 펀드가 5개, 브라질 투자 펀드가 1개, 러시아 투자 펀드가 1개를 차지했다.
미래에셋인덱스로차이나H레버리지2.0은 49.1%를 기록해 변동성이 가장 컸다.
오용석 금감원 자산운용감독실장은 "기계적으로 부여되던 펀드 위험 등급이 실질 위험을 반영해 여러 등급으로 세분화됐다"며 "투자자들이 더 쉽게 펀드의 위험 수준을 파악해 비교할 수 있어 합리적인 펀드 선택이 가능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