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박 체류 선원 771명·반출 못 한 화물 1만8천TEU… 후속대책 필요
-
지난 9월 한진해운의 법정관리로 촉발한 해운물류 대란이 달포 만에 일단락되는 모습이다. 97%의 선박에서 뱃짐이 내려졌고 한진해운이 계약한 화물의 96%가 화주에게 인도됐다.
다만 선박 임시압류 등으로 700명이 넘는 선원이 배에서 내리지 못하고 있고, 아직 화주에게 건네지 않은 화물도 적잖아 지속적인 관리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수산부와 기획재정부는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공동브리핑을 통해 한진해운 관련 진행상황과 앞으로 관리방안을 설명했다.
정부는 7일 오후 6시 현재 한진해운 소속 선박 141척 중 97.2%에 해당하는 137척에서 뱃짐을 내렸다고 밝혔다.
컨테이너선은 97척 중 국외항만에서 52척, 국내 항만에서 42척 등 총 94척, 벌크선은 44척 중 43척에서 하역작업이 완료됐다.
남은 컨테이너선 3척 가운데 1척은 해외 하역을 위해 운항 중이고, 2척은 국내 하역대상으로 임시압류 중이다. 하역이 끝난 선박 중 임시압류 선박은 한진 셔먼호 등 3척이다.
정부는 아직 뱃짐을 못 내린 선박에 대해 하역이 조속히 이뤄질 수 있게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중국 상해에서 임시압류된 1척은 상해 항만당국과 협의해 조기에 하역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정부는 뱃짐 하역작업이 일단락돼 가는 만큼 내린 화물의 반출과 환적(옮겨싣기)에 행정력을 모은다는 방침이다.
해수부에 따르면 7일 기준으로 하역이 완료된 화물량은 37만8000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다. 한진해운이 계약한 물량 39만6000TEU의 95.5%에 해당한다. 나머지 1만8000TEU는 운송 중이거나 환적을 위해 대기 중이다.
항만에 내린 화물 중 34만3000TEU는 화주에게 인도됐다. 다만 3만5000TEU가 아직 화주에게 건네지지 않은 상태다.
정부 관계자는 "화물 인도는 기본적으로 화주·물류주선업체와 한진해운이 해결해야 할 사안이지만, 정부는 화주에게 화물이 원활히 인도될 수 있게 항만당국과 협조하는 한편 현지 주선업체 안내 등 현장대응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21개국 33개 항만에서 현지대응팀을 가동하고 있다. 현지대응팀은 미국 로스앤젤레스(LA) 롱비치터미널과 뉴욕, 싱가포르, 독일 함부르크 등 주요 거점항만에서 하역상황을 점검하고 현지 항만당국과의 협의를 진행한다. 지난 9월 해외하역의 물꼬를 튼 롱비치항 하역재개가 현지대응팀 운영의 대표적인 성과로 꼽힌다. LA현지대응팀은 9월8일 롱비치 항만청장을 면담하고 하역조건 등을 직접 협의했고 하역작업은 이틀 뒤 재개됐다.
정부는 임시압류 등으로 선박에 강제 체류하고 있는 선원의 관리에도 빈틈이 없게 한다는 계획이다. 7일 현재 한진해운이 선원관리 책임을 지는 선박은 45척(컨테이너 32, 벌크 13)이다. 애초 61척(컨테이너 37, 벌크 24)에서 반선 등으로 16척이 줄었다. 한진해운이 빌린 배는 선주에게, 국적취득 조건으로 빌린 나용선(BBC-HP)은 한진해운에 각각 선원관리 책임이 있다.
반선된 선박에 탔던 선원 304명(한국인 95, 외국인 209)은 모두 본국으로 복귀했다. 남은 선박에는 아직 771명(한국인 377, 외국인 394)이 승선해 있다.
정부는 배별로 의료관리자를 지정해 선원 건강을 지속해서 살피고 있다. 선내 필수품 현황도 매일 확인해 물과 음식 등이 15일 미만으로 남은 선박을 중심으로 생필품 보급을 추진한다.
정부는 화주와 협력업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앞으로도 금융지원과 일대일 맞춤형 상담서비스를 이어갈 방침이다.
중소기업청은 7일 현재 한진해운 관련 협력업체와 중소 화주 등에게 만기연장과 경영안정자금 지원 등 총 583건, 3445억원을 지원했다.
고용노동부는 한진해운 육상인력에 대해 전직교육 등 재취업을 지원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