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F 구성해 발전방안 모색, 이달 공청회 열고 여론 수렴계열사 고객정보 공유·임직원 겸직 확대 등 법 개정 검토
  • ▲ 서울 남대문에 위치한 신한금융지주 본사 전경.ⓒ뉴데일리
    ▲ 서울 남대문에 위치한 신한금융지주 본사 전경.ⓒ뉴데일리

    국내 금융권에 금융지주회사가 출범한 지 16년이나 지났지만 아직도 조연에 불과하다.

    이에 금융당국은 금융지주회사가 제 역할을 발휘할 수 있도록 관련 전문가들과 함께 머리를 맞대기 시작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등 감독당국과 각 금융지주사 임원, 전문가들이 모여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운영 중이다.

    TF팀은 이달 한국금융연구원이 주관하는 공청회를 열고 여론을 수렴한 후 법 개정도 추진할 계획이다.

    금융당국이 금융지주회사 발전을 위한 TF를 가동하는 이유는 16년이나 지났지만 국내 금융회사의 살림살이가 나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2000년 이후 우리금융지주를 시작으로 신한, 하나, KB, NH농협 등 은행을 중심으로 한 금융지주사가 잇따라 선을 보였다.

    하지만 우리금융지주는 민영화란 명목으로 해체됐으며 씨티, SC금융 등 외국계 역시 지주회사를 해체하며 다시 은행으로 돌아갔다.

    이들이 금융지주를 해체한 이유는 비용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 때문이었다.

    지금은 임원 겸직이 조금 늘었지만 아직도 인사, 경영전략 등 각 계열사마다 임원을 따로 두고 있는 곳이 많은 편이다.

    또 계열사와 함께 고객정보를 공유하는 것도 한계가 있어 사실상 각자 영업하는 중이다.

    이달 열리는 공청회에서도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룰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계열사 인사·조직에 대한 지주사의 통합 관리를 강화 방안, 계열사 사이 고객정보 공유와 상품 조합으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정보공유 규제도 완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신성환 금융연구원장은 "금융소비자 입장에선 은행이든, 증권사든 원하는 서비스를 한 곳에서 받을 수 있으면 편리하다"며 "막혀 있는 정보공유 규제를 풀어 소비자가 복합적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개별 업권 중심으로 운영되는 금융회사에 대한 감독 체계 개편도 검토된다. 권역별 감독을 금융그룹 통합 감독으로 전환해 리스크를 관리하는 식이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지주회사가 콘트롤타워로서 강력한 역할을 해야 하는데 지금은 너무나 약하다"며 "지주회사 제도를 통해 글로벌 금융그룹으로 도약한 외국 사례 등을 연구해 규제 체계와 운영시스템을 개선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