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정부 LG 지주사 전환하자 "기업 지배구조 개선" 평가
-
김대중·노무현 정권의 재벌정책의 한 축이었던 지주회사 전환이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거야(巨野)의 손에 와르르 무너질 위기에 처했다.당시 정부는 '재벌개혁'을 외치며 지주회사 출범을 독려했고 LG그룹을 시작으로 SK, 두산 등 재계 전반으로 지주회사 전환이 잇따랐다. 올해 안으로 삼성과 롯데도 이를 완료한다는 계획이었으나 정치권이 돌연 '제동'을 걸고 나서면서 붕 뜬 상태가 됐다.지주회사란 자회사 주식을 지배가 가능한 지점까지 사들여 지배권을 행사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김대중 정부 시절인 1999년 도입됐다. 2003년 LG는 국내 대기업 중 첫 지주회사로 탈바꿈하면서 오너 중심의 기업지배구조를 개선, 새정부의 정책기조에 부응했다는 평가를 받았다.22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회에 상정된 공정거래법과 상법개정안에는 지주회사 관련 규제가 상당수 포함돼 있다.모회사 주주가 자회사를 대상으로 주주 대표 소송 및 장부 열람을 가능하도록 한 데다가, 특정 주주가 지주회사 지분 1%만 얻어도 자회사 전체를 대상으로 주주권을 행사하도록 규정했다.공정거래법도 지주회사에게 불리한 내용 투성이다. 지주사 전환 전에 보유한 자사주를 모두 소각하도록 하고 있고, 법인세법은 회사 분할 때 자사주 분할 신주를 배정하면 해당 신주에 법인세를 추가로 부가하는 내용이 들어가 있다.야권은 2월 임시국회에서 공정거래법과 상법개정안을 우선 처리하겠다고 벼르고 있다.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는 지난달 대선 공약으로 "지주사의 자회사 의무비율을 높이고 부채비율 한도를 축소하겠다"고 했다. 현행 공정거래법은 지주사가 상장 자회사의 지분 보유를 20%(비상장사 30%)로 제한하고 있다. 또 부채비율도 200%로 한정하고 있다.문 전 대표는 의무 비율에 대한 규정을 명확하게 밝히지는 않았다. 하지만 재계는 기존 20%에서 10%P만 올려도 수조원이 들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삼성전자의 예를 들면, 지분 10% 추가 확보하려면 81조원이 든다. 문 전 대표의 공약이 '삼성 겨누기'라는 지적이 뒤따르는 이유이다.재계 관계자는 "자사주 규제 강화가 이뤄질 경우, 순환출자를 위해 추진 중인 지주사 전환 작업은 불가능하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삼성 뿐만 아니라 현대차, 롯데 등 지주사 전환을 준비해온 기업들은 마지막 단추를 앞두고 직격탄을 맞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