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시장 진출 기반 4차 산업 성장 추진 계획 차질일까 '촉각'"내수 업종, 당장 영향 없다지만 '예의주시'"
  • ▲ ⓒ뉴데일리경제DB
    ▲ ⓒ뉴데일리경제DB

     

    중국 현지 한국 여행상품 판매가 전면 중단되는 등 중국의 사드 배치 보복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이통사들도 이번 사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현재 사물인터넷(IoT), AI(인공지능), 5G 등 4차 산업 분야에서 중국과 협력 관계를 강화하고 있는 만큼, 이번 사태가 자칫 장기화될 경우 중국발 사업 계획에 차질을 빚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통 3사는 전형적 내수 업종이라 중국발 악재에 아직까지 큰 영향이 없다는 입장이지만, 혹시 모를 후폭풍이 일지 않을까 전전긍긍하는 모습이다.

    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이통사들은 최근 5G 기반 4차 산업 분야에서 중국과 협력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SK텔레콤은 노키아, 에릭슨 등 글로벌 장비제조업체와 교류를 하고 있으나, 5G 부문에서 중국 차이나유니콤, 차이나모바일과도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SK텔레콤은 최근 중저가 단독폰 '쏠'을 중국 기업 TCL알카텔에 맡기며, 중국 제조업체들과도 돈독한 관계를 유지 중이다. '출고가 30만원대'를 맞추기 위해 중국 제조업체를 택한 것이다.

    KT도 지난 'MWC 상하이'에서 차이나모바일과 사물인터넷 플랫폼 및 서비스 교류와 관련해 양해각서(MOU)를 맺었다.

    아울러 중국 가상현실 플랫폼 사업자인 '87870.com'과 글로벌 사업 협력을 추진하기 위한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두 회사는 ▲글로벌 VR 체험관 구축 ▲한-중 VR 콘텐츠 유통 ▲글로벌 VR 네트워크 구축 등을 협의했다.

    LG유플러스는 중국 화웨이와 통신장비 부문에서 협력 관계가 가장 많은 이통사다. 이통 3사 중 화웨이 장비 비중이 가장 높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화웨이 스마트폰 'Y6'를 국내에서 유일하게 취급할 만큼 협력관계가 돈독하다.

    그런데 문제는 한반도 사드 배치 결정 이후 제기된 중국의 경제 보복 우려가 현실화되며, 이통 업계가 중국 시장 공략 및 협력 관계에 영향을 미칠가 우려를 내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이미 포화 상태에 다다른 국내 통신 시장을 벗어나 4차 산업을 통한 해외 진출 모색이 절실한데, 가장 시장이 큰 중국과 이 같은 상황이 벌어져 난감하다는 입장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일반 자본주의 나라라면 정부차원에서 내린 결정을 기업이 모두 따를 이유는 없지만, 중국의 경우 아직까지 공산주의를 표방하고 있는 나라 다보니 정부의 입김이 크게 작용할 것"이라며 "중국 업체들과 맺은 여러 사업 계획들이 차질을 빚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어 "통신 사업자에서 플랫폼 사업자로의 변화를 꾀하고 있는 국내 이통사들로써는 중국 시장 진출을 통한 4차 산업 분야의 성장을 꾀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통신 업계가 전형적 내수 업종이라 중국발 악재에 아직까지 큰 영향이 없지만, 관련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