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초대형IB의 본격 출범으로 업계 전반에 변화가 예상된다.
증권업의 산업 환경 개선 여지는 낮은 상황에서 당국의 시장 재편 정책에 따라 경쟁력을 갖춘 증권사만 살아남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초대형IB 자격을 취득한 증권사들은 기업금융에 뛰어들게 되면서 1금융권들과도 경쟁할 수 있는 채비를 갖췄다.
현재로서는 유일하게 받은 한국투자증권 만이 발행어음 사업을 할 수 있고, 미래에셋대우, NH투자증권, KB증권, 삼성증권 등 4개 증권사는 일단 외환업무만 진행하면서 발행어음 사업 진입을 노리고 있다.
심사와 인가 과정에서 대주주 적격성 외에도 자본 건전성과 각종 징계 사항 등을 더욱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는 기조로 4개 증권사들의 발행어음사업 시행이 늦어지고 있다.
반면 초대형IB 도입으로 모험자본이 25조원 가량 공급되는 효과에 대한 부분을 당국이 외면할 수 없고, 제도 자체가 당국의 주도로 진행되는 점을 고려하면 초대형IB 활성화는 시기의 문제라는 시각도 있다.
여기에 초대형IB가 가시적인 사업 성과를 보일 경우 자기자본이 3조1680억원의 메리츠종금증권, 3조1503억원의 신한금융투자도 언제든 자기자본 4조원을 채워 초대형IB 대열에 합류할 수 있다.
초대형IB 진출을 가시권에 두고 있는 메리츠종금증권과 신한금융투자까지 가세할 경우 '한국판 골드만삭스'를 꿈꾸는 초대형IB는 단기간 내에 7개까지 늘어나게 된다.
이처럼 증권업계가 7강 체제로 재편될 경우 업계의 부익부빈익빈 현상은 가시적으로 나타나게 되며, 이후 업계 개편은 빠른 속도로 진행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이 모아진다.
초대형IB 자격을 갖췄거나 가시권에 둔 7개 증권사를 제외한 나머지는 현실적으로 대형사 대열에 합류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고, 이 경우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이 갈수록 어려워져 치열한 생존 전략이 불가피하다.
증권업 특성상 브로커리지나 상품운용 부문은 새로운 전략이나 서비스 발굴이 어렵고 오히려 대형사들의 물량공세에 대한 대처가 쉽지 않다.
실제 지난해에도 NH투자증권, KB증권, 미래에셋대우 등 대형사들은 비대면 고객 확보를 통한 WM·IB부문 연계 영업을 목적으로 파격적인 거래수수료 무료 정책을 대대적으로 진행했다.
중소형사들은 기업금융·증권인수 관련 사업을 이미 대형사들에 빼앗겨 투자대상이 한정돼 있는 상황에서 브로커리지 부문까지 입지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그만큼 위기가 늘어날 수 밖에 없다.
신용평가기관도 이같은 기조에 편승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국내 3대 신용평가기관인 한국신용평가는 초대형IB 시행과 관련해 증권사 평가방법론을 개정했다.
자기자본 규모를 증권사 신용도 평가 항목 중 가장 영향력 있는 요소로 반영한 것이 핵심으로 시장지위 및 사업의 안정성을 평가요소에서 가장 높은 비중(20%)을 뒀으며 오는 3월부터 평가방법을 바꾼다.
이밖에 영업순수익 시장점유율, 사업포트폴리오의 안정성 등에 높은 비중을 두고 증권사를 평가하기 때문에 결국 대형사들은 신용등급 상승 가능성이 높아지고, 중소형사들은 하락 가능성이 높아질 전망이다.
한국신용평가의 이같은 방침은 중형 증권사들의 생존기반이 위협받고 있다는 리스크 의견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한신평 보고서에 따르면 중소형증권사들은 제반 영업부문에서 대형사와의 충돌로 치열한 경쟁이 불가피하다.
중소형증권사의 사업구조가 발행어음 등 종합금융투자사업자에게 허용된 일부 영업부문을 제외하고, 대형증권사와 동일하기 때문이다.
한신평은 "중소형증권사의 영업기반 확보, 효과적인 리스크관리 등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투자중개부문 수수료율 인하, 신용공여 금리 인하 등 대형사의 공격적인 리테일 영업이 이어져, 중형사의 영업기반 훼손이 우려된다"고 설명했다.
결국 중소형사는 균형잡힌 포트폴리오와 특화전략 사이에서 생존을 위한 방향을 설정할 시기를 맞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중소형증권사들은 그동안 효율성을 위해 특정 사업부문에 집중해왔다"며 "그러나 특정 사업에서 실패할 경우 대규모 부실이 발생한 만큼 특화전략 역시 절대적인 정답은 아니라는 점에서 고민이 깊어질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