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량기업 찾는데 발품 팔며 비지땀올해 시금고 등 유치전 치열할 듯
-
-
-
-
▲ ⓒ뉴데일리
최근 금융당국이 새로운 자본규제를 발표한 가운데 은행권의 움직임이 예사롭지 않다.
전문가들은 자본규제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으나 현장에선 향후 미칠 파장에 미리미리 대비해야 충격파를 줄일 수 있다는 입장이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시중은행은 우량 중소기업을 찾는데 더욱 박차를 가한 상태다. 이미 앞서 관련 조직을 강화하며 대비했지만 막상 금융당국까지 새로운 자본규제안을 밝히자 불이 떨어진 것이다.
중소기업을 타깃으로 삼은 이유는 앞으로 예대율 산정 시 가계대출의 경우 가중치(+15%)가 상향 조정되고 기업대출은 가중치(-15%)가 하향 조정되기 때문이다.
그동안 시중은행은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대출을 늘려왔다. 따라서 이번 자본규제로 인해 가계대출 잔액을 줄여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가중치를 감안했을 때 신한, 하나, 우리은행은 99%대로, 국민은행은 100.5%로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예대율은 100% 이내로 유지해야 하는 만큼 개편 전까지 가계대출은 줄이고 기업대출을 늘려야 하는 것이다.
기업대출을 늘릴 수 없다면 수신, 즉 예금을 늘리면 된다. 분자보다 분모를 크게 해 예대율을 낮추는 방법이다.
하지만 금리 인상기를 맞이해 파격적인 금리를 제공하지 않는 한 고객들이 쉽게 돈을 맡길 가능성은 낮다.
자칫 수신 잔고를 늘리겠다고 파격적인 금리를 제공했다간 역마진을 낳을 수 있는 위험도 있다.
은행 관계자는 “수신잔고를 늘리고 싶어도 빅 이벤트가 없는 한 고객들이 은행을 찾진 않을 것”이라며 “그나마 최근 가상화폐 이슈로 인해 가상계좌를 연계한 급여계좌를 유치할 수 있으나 최근 사회분위기 상 도덕적 문제에 직면하게 돼 고민이 많다”고 토로했다.
앞서 거론된 고민을 한 번에 털어낼 수 있는 방법도 있다. 바로 시금고와 같은 기관들의 자금을 유치하는 것이다.
올해는 서울시금고를 비롯해 인천, 제주 등 자치단체와 대한적십자사 통입기금조성 및 운영업무, 한국전력거래소, 한국수력원자력, 창업진흥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산업인력공단 등 굵직한 기관영업 쟁탈전을 앞두고 있다.
서울시만 유치해도 예산만 32조원, 여기에 서울시 공무원은 물론 유관기관 관계자를 고객으로 유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금고 유치전은 여느 때보다 각 은행들이 사활을 걸고 뛰어들 것으로 보인다. 이미 국민은행은 2금고 유치보다 1금고 탈환을 목표로 물밑 작업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4대 시중은행만을 놓고 자체적으로 계산한 결과, 예대율은 98.4%에서 99.5%로 높아지고 추가 예수금 조달 규모는 약 8조8000억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라며 “이자비용이 증가하면 수익성도 떨어지기 때문에 은행 입장에서는 모든 영업에서 고객 한 명, 한 명이 소중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