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각 상무 6명, 4명 선임해 총 21명, 18명 구성임원진 인사 교체 소폭 그쳐…'안정 체제' 방점
-
대신 지난해보다 상무급 임원을 많이 앉히면서 임원 수를 대폭 늘린 모습이다.10일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의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총 임원 중 미등기임원은 각각 21명, 18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보다 각각 6명, 4명 늘어난 수다.지방은행은 시중은행과 달리 지역영업본부장부터 임원진으로 분류한다. 이들 두 은행은 올해부터 본부장 직위를 상무로 변경했다.먼저 부산은행은 기존 부행장보 6명, 본부장 9명에서 부행장 1명, 부행장보 5명, 상무 15명으로 바뀌었다.특히 상무 직위가 대거 늘어난 것을 볼 수 있는데, 방성빈·장종호·강상길·정성재·노종근·박일용 상무가 신규 선임됐다.퇴임은 소폭에 그쳤다. 이형호 부행장보와 신덕수·이동현 상무가 임기 2년을 채운 뒤 연임에 골인하지 못했다. 신덕수 상무는 겸직하던 지주 그룹리스크관리총괄직에서 전무로 승진해 보직을 이어간다.경남은행은 황윤철 행장 체제에서 첫인사를 단행했다. 지주의 조직 신설 및 경영진 인사와 함께 수시 인사를 단행한 것.기존 수석부행장 1명, 부행장 3명, 부행장보 3명, 본부장 7명에서 부행장 1명, 부행장보 5명, 상무 11명, 상무대우 1명으로 변화했다.부행장 수가 줄고 상무 수가 늘어난 것을 볼 수 있는데, 심종철·한기환·심종철 상무가 승진해 임원 자리에 올랐다. 여기에 올해 WM사업본부와 디지털금융본부를 신설하면서 외부인사를 영입하기도 했다.디지털금융본부는 최우형 부행장보가 선임됐으며, WM사업본부를 맡은 김상홍 부행장보는 지난해 지주 상무로 영입돼 전무로 승진 후 그룹WM을 담당하면서 은행, BNK투자증권까지 아우르게 됐다.퇴임 임원은 4명뿐이다. 이철수 수석부행장과 김석규 부행장은 임기 3년, 구삼조 부행장은 4년, 최홍영 상무는 2년을 채우고 떠났다.김지완 BNK금융 회장이 취임 후 개편한 임원 임기 '2+2 체제'가 지난해 임기 만료 시점 임원들에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예외인 임원도 있다. 김형동 부행장은 임원 중 유일하게 부행장 타이틀을 가지며 임기 4년째에 1년 또 연임했다.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은 같은 계열사 식구인 만큼 겸직 임원도 존재한다. 부산은행의 안병택, 곽위열, 성경식 상무는 경남은행을 겸직 중이다.앞서 BNK금융은 지난달 두 은행에 그룹장 제도를 새로 도입했다. 업무 성격이 유사한 사업본부를 그룹으로 묶어 본부간 시너지를 창출하고 책임경영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CEO가 전체 사업본부를 직할로 관리하던 기존 경영방식을 탈피하기 위해 두 은행 모두 경영관리그룹, 여신운영그룹, 마케팅그룹 등 3개 그룹(9개 본부)을 신설했다.부산은행은 경영관리그룹장에 성동화 부행장, 여신운영그룹장에 안감찬 부행장보, 마케팅그룹장에 이기봉 부행장보를 선임했다. 경남은행은 경영관리그룹장에 김형동 부행장, 여신운영그룹장에 서재석 부행장보, 마케팅그룹장에 이진관 부행장보를 선임했다.이번에 대대적인 임원 교체가 없었던 것은 김 회장의 인사방식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김 회장은 몇 개월 간 이어졌던 BNK의 CEO리스크를 잠재우기 위해 안정에 방점을 둔 임원 인사를 단행해왔다.
은행권 관계자는 "계열사 부행장보 이상 임원인사는 지주 이사회에서 결정되는 사안으로 김 회장의 인사 철학이 반영될 수밖에 없다. 상무 인사는 은행장의 의중이 작용될 가능성이 높다"며 "인사 변화는 소폭에 그치면서 임원 구성을 확대하는 것은 담당 역할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