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개업만 맡는 중개전문특화증권사가 금융당국의 주도로 출범하게 된다.
지난 2016년 4월 도입된 '중소기업 특화 증권사'(중기특화증권사) 제도가 실효성 논란 속에 곧 2기 출범을 앞두고 차별화에 성공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금융업 진입규제 개편방안'을 통해 중개전문회사의 진입규제를 낮춰 비상장사나 코스닥·코넥스, 사모증권이나 펀드지분 등 모험자본을 주로 다루는 중개전문회사의 활성화를 유도했다.중개전문특화증권사는 직접 매매는 하지 않고 말 그대로 중개업만 맡는 증권사로, 중소기업의 주식과 회사채 발행을 전문으로 하는 금융사를 늘리겠다는 당국의 의도가 담겨있다.
현재 투자중개업은 인가제로 운영돼왔고, 자본금 요건으로 해외보다 진입 장벽이 높았다.
반면 중개전문특화증권사는 인가제를 등록제로 바꿔주고 현행 30억원인 최소자본금도 절반 수준으로 낮추기로 했다.
당국은 중개전문회사의 진입규제를 낮춰 중소기업에 원활한 자금 수혈을 기대하고 있다.
당국은 현재 종합증권업 인가를 보유한 국내 46개 증권사 가운데 중소기업에 대한 주식과 회사채 발행 비중이 미비해 중소기업이 제때 증권사로부터 자금조달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이번 진입규제 완화로 모험자본의 공급의 활성화와 금융투자업의 성장사다리 강화를 당국은 기대하고 있다.
다만 중개전문증권사와 2년전 도입된 중기특화증권사의 차별화는 과제로 볼 수 있다.
이미 현장에서는 중기특화증권사에 대한 관심이 멀어졌다.
금융위원회는 중소ㆍ벤처기업에 대한 모험자본 공급을 확대한다는 목표로 지난 2016년 중기특화증권사 제도를 도입했고, 2기 출범을 준비하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실질적 효과와 혜택은 미미하다는 것이 업계 의견이다.
특히 중개전문증권사가 제공할 예정인 서비스들은 2년전 중기특화증권사 출범 당시 세운 '중소ㆍ벤처기업 맞춤형 투자은행(IB) 서비스' 목표와 유사하다.
업계 관계자는 "업계 대형화 추세에 따라 생존을 위해 중소형 증권사들에게 활로를 모색하기 위해 중기특화증권사가 출범했지만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정책으로 관심도가 급격히 식었다"며 "중소·벤처기업들도 중소형 증권사 보다는 대형 증권사의 문을 두드린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업계는 중개전문특화증권사와 중기특화증권사에 대한 차별화 방안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일각에서는 모험자본 조달을 추구하는 소규모 특화중개업자의 시장진입이 쉬워질 경우 부작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증권사들이 중소ㆍ벤처기업을 발굴하고, 이들의 성장을 확신해 투자를 진행하기 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고, 이같은 점에서 중기특화증권사들이 가시적 성과도출이 부진했던 것"이라며 "투자중개업 등록제 전환도 투자자보호 필요성을 신중히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