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뉴데일리DB
    ▲ ⓒ뉴데일리DB
    국내 대기업집단 계열사 100곳 중 85곳은 비상장사로, 재벌들의 비상장사 '일감 몰아주기' 등을 통해 사익을 편취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재벌 총수가 있는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27곳의 지난해 말 기준 계열사는 1142곳으로 이중 971곳(85.0%)은 비상장사다.

    그룹별로 보면 삼성은 63개 계열사 가운데 비상장사는 47곳으로 74.6%를 차지했고 현대자동차(80.4%) SK(83.0%), LG(83.8%), 롯데(89.1%) 등은 80%대에 달했다.

    부영그룹은 계열사 24개 모두 비상장사였으며 한국투자금융(96.6%), 교보생명보험(92.9%), 미래에셋(92.7%), 금호아시아나(92.0%), GS(91.3%), 한화(90.0%) 등은 비상장사 비중이 90%대 인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그룹과 달리 KCC는 57.1%로 비상장사 비중이 제일 낮았다.

    재벌 그룹 27곳의 지난해  기준 비상장사 수 971개로, 10년 전 595곳보다 63.2% 증가했다. 

    롯데 비상장사 수는 2007년 36개에서 지난해 82개로 46개 증가했고 하림은 9개에서 52개로 43개 늘어났다. LG그룹은 35개가 늘었고 SK(34개), 한화(31개), LS(26개), 신세계(21개) 등 그룹도 비상장사 수가 증가했다.

    이 기간 롯데그룹은 계열 상장사가 7곳에서 10곳으로 3곳 늘어났고, SK 상장사는 4곳 증가했을 뿐이다. 한화그룹도 상장사 수는 2개 늘어나는 데 그쳤고 LG그룹의 상장사는 1곳만 증가했다.

    LS, 한국투자금융, GS 등 그룹은 상장사 수가 10년간 변함이 없었다.

    최근 김상조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은 대기업 총수 일가에 시스템통합(SI), 물류, 부동산관리, 광고 등 그룹 핵심 사업과 관계없는 비상장사 지분을 처리할 것을 주문한 바 있다.

    총수 일가가 지분을 많이 보유한 비상장사가 계열사를 통한 일감 몰아주기로 부당한 이익을 얻고 공정거래를 해칠 가능성을 우려한 것이다.

    비상장사는 재벌의 문어발식 확장, 세습 수단이라는 지적이 끊임없이 제기돼왔다.

    재벌 3, 4세가 지분을 많이 가진 비상장사에 일감을 몰아주는 방식이 적지 않았고, 투자자에게 공시 등을 통한 회사 내부 사정을 공개해야 하는데 비상장사는 외부 감시가 덜하다는 점 등이 악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박상인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재벌개혁위원장은 "재벌 기업의 비상장사들을 보면 3세나 4세 자녀의 지분율이 무척 높다.비상장사를 통해 사익 편취를 위한 일감 몰아주기를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일감 몰아주기 문제를 상장유지 요건에 넣어서 상장사가 일감 몰아주기를 하는 것이 심각하면 상장 폐지되도록 하는 방법도 있다"며 대응책 마련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