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액 전년 대비 55% 급감…주변국들과의 경쟁은 심화
-
조선업계가 수주 호조에도 마냥 즐겁지 않은 모양새다. 수출량 감소와 더불어 중국과 일본 등 주변국들과의 경쟁이 가열되면서 업황 회복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기 때문이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 우리 조선업계의 수주실적은 지난해와 비교해 큰 폭으로 개선됐지만, 같은 기간 수출량은 반토막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2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우리나라의 올해 상반기 선박 수출액은 107억5200만달러로 전년 대비 55% 급감했다고 밝혔다. 지난달에는 선박 수출액(12억7400만달러)이 두 자릿수 마이너스 성장을 보이며 4개월 연속 하락했다.
재작년 선박 수주 감소와 전년도 대규모 해양플랜트 수출 등에 따른 기저효과 영향이 실적 부진으로 이어진 것이다.
앞서 조선업계의 상반기 수주실적(410만CGT)은 전년 동기 대비 72.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전문가들은 수주량 뿐만 아니라 수출량도 따져봐야 한다고 조언한다. 수주 실적은 향후 계획으로 당장 지표에 반영되지 않는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수주량은 미래 지표이고 수출량은 현재 지표"라며 "수주량을 통해 우리 조선업계가 이번 고비를 넘기면 나아질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질 수 있지만, 수출량으로 봤을 때 정상화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 조선업계에 회복 조짐이 보인다는 건 다행이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일본과 중국이 조선산업을 키우면서 우리 조선 '빅3'끼리 경쟁했던 과거와는 달리 주변국과의 경쟁에서 일감 하나 확보하기도 버거운 상황이다.
일본 조선업계의 경우, 구조조정을 어느 정도 달성하면서 지난해 상선 수주량이 전년 대비 2.5배 늘어나는 등 상황이 점차 나아지고 있다. 일본이 강점을 지닌 친환경 선박 수요도 본격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일본은 정부까지 나서서 우리 조선업계를 압박하고 있다. 최근 일본의 교도 통신과 류쿠 신문은 일본 정부가 한국 정부가 국내 조선업계에 부당하게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는 이유로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할 방침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 "일본 정부가 아직 검토 중인 것으로 알고 있으며, 공식적인 입장은 받은 바 없다"며 "일본이 우리 정부가 과거 대우조선을 지원한 이후부터 꾸준히 제기해 온 문제로 알고 있다. 한국과 일본, 중국 간에는 늘 긴장관계가 존재했다"고 설명했다.
중국 업체들의 공세도 거세지고 있다. 중국의 신조선 수주량(3373만DWT)은 전년 대비 20.9% 상승했고, 지난달에만 수주액 12억1000만 달러를 달성하며 우리나라를 제쳤다. 이같은 성장은 중국 정부가 자국 조선사들에 대출, 보조금 지원 등 혜택을 아끼지 않은 데 따른 것이다.
중국은 국유 조선사인 중국선박공업집단공사(CSSC)와 중국선박중공집단공사(CSIC)의 합병도 앞두고 있다. 오는 2020년까지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 점유율을 4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이다.
또 다른 조선업계 관계자는 "국내 조선사가 기술력과 품질이 좋지만, 현재 중국이나 동남아 국가에서 낮은 인건비를 무기로 공격적인 수주에 나서고 있다"며 "유가가 상승하면서 해양플랜트 물량이 나올 수 있지만, 조선 빅 3가 국내 경쟁을 통해 일감을 확보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