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달 평균 수익률 0.28%…국내주식형 -4.93%금리 하락하며 채권값 올라…투자금도 순유입 추세
  • ▲ ⓒ 연합뉴스
    ▲ ⓒ 연합뉴스
    증시 불확실성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가 상대적으로 호실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 등에 따르면 설정액 10억원 이상 펀드의 수익률 집계 결과 지난 26일 기준 국내 채권형 펀드 264개의 최근 1개월 평균 수익률은 0.28% 수준이었다.

    유형별로는 국공채권(0.36%), 회사채권(0.36%), 초단기채권(0.17%), 일반채권(0.34%) 등 모든 유형의 국내 채권형 펀드가 플러스 수익을 보였다.

    상품별로는 '키움KOSEF10년국고채레버리지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채권-파생형](1.18%), 'DB다같이장기채권증권투자신탁[채권]C/C-F'(0.79%), '한화ARIRANG국채선물10S년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채권-파생형]'(0.72%) 등의 수익률이 상위권을 기록했다.

    안전자산이라는 채권의 특성상 '고수익'은 아니나 같은 기간 국내 주식형 펀드의 수익률이 평균 -4.93%로 손실을 보이는 것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양호한 것이다.

    국내 주식형 펀드는 펀드매니저가 직접 종목을 선택하는 액티브 펀드(-4.42%)와 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 펀드(-5.33%) 모두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지난달부터 글로벌 무역전쟁 우려 등으로 코스피와 코스닥이 조정을 받고 있어서다.

    반면 채권은 중장기물 위주로 금리가 하락세를 보이면서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가 양호한 성과를 냈다. 금리가 내리면 채권값이 올라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의 수익률은 높아진다.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데 따라 투자자금도 채권형 펀드에 유입되고 있다.

    최근 한 달간 국내 채권형펀드 설정액은 1조408억원 증가했다. 특히 이 가운데 만기가 1년 미만인 초단기채권 펀드는 설정액이 5576억원 늘었다.

    또 일반채권 펀드에 4954억원, 회사채권 펀드에 26억원이 각각 들어왔다. 국공채권 펀드에서만 148억원이 빠져나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