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남3구'와 강북지역 자치구의 격차가 각종 세수에서도 명확히 드러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구는 강북구와 비교하면 지난해 재산세 부과액은 17배, 법인지방소득세도 119배에 달한다. 또 올 세입 예산은 자치구 가운데 유일하게 1조원을 넘겼다.
15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재산세 부과액 1~3위는 강남3구로 불리는 강남구 4289억원, 서초구 2478억원, 송파구 1989억원이 각각 차지했다.
반면 도봉구, 강북구, 중랑구, 금천구는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도봉구·강북구가 각각 257억원을 기록했고, 중랑구 313억원, 금천구 345억원이었다.
강남구 부과액은 전 자치구 부과액 2조1598억원 중 19.8%를 차지하며 도봉구·강북구의 16.6배에 이른다. 또 강남 3구를 합치면 전체 부과액의 40.5%를 차지한다.
관내 기업이 납부하는 법인지방소득세는 격차가 훨씬 컸다.
지난해 기준 강남구는 1만3609개 기업에 197억9300만원이 부과돼 가장 많았고 서초구 60억4900만원, 송파구 39억7600만원이 뒤를 이었다.
이에 반해 강북구는 502개 기업, 1억6700만원으로 가장 적었고 도봉구 2억3200만원, 은평구 5억5300만원도 하위권이었다. 강남구와 강북구의 격차는 118배에 달한다.
자치구 전체 예산에서도 강남3구의 강세가 두드러진다.
특히 강남구는 올해 예산규모(세입 기준)가 1조1164억원으로 유일하게 1조원을 초과했다. 서초구는 7912억원으로 네 번째에 자리했고, 송파구가 7489억원으로 다섯 번째다.
금천구는 4155억원으로 가장 적고 나머지 구는 대부분 5000억~6000억원대 수준이다.
집값 격차도 마찬가지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 7월 기준 한강 남 11개구 아파트값은 3.3㎡당 평균 2837만원을 나타내 한강 이북 14개구 평균 1824만원보다 1013만원 높았다. 2006년 이후 12년 만에 가장 큰 격차다.
이에 일각에서는 기업과 세금의 지나친 편중이 서울 균형 발전을 저해하는 만큼 기업체 편중 문제를 강남·북 격차 해소의 과제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기업이 일부 지역에만 들어서다보니 주변 상권 활성화, 지역 소비 진작, 일자리 창출 등의 부수효과도 '그들만의 리그'가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