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적 경쟁력 확보… "홈IoT서 건설사 입지 지킬 것"불편한 이통사… 21조 스마트홈 시장 주도권 경쟁 관심집중
-
건설업계와 이통사간 스마트홈사업에 대한 협업이 진행중인 가운데, 최근 건설사들이 스마트홈 플랫폼을 자체적으로 구축하는 사례가 늘면서 업계 간 소리없는 경쟁이 펼쳐지는 모습이다. 건설사가 개발하는 스마트홈 플랫폼 일부가 이통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와 겹치고 있기 때문이다.18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대림산업은 주택전기팀에서 자체적으로 IoT 구현을 위한 스마트홈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대림산업은 지난해 KT와 손잡으면서 '아크로 서울포레스트' 주상복합 아파트에 KT의 음성인식 인공지능(AI) 기술을 도입했지만 이후 자체 스마트홈 플랫폼 개발로 선회했다. 급변하는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다.앞서 대림산업은 월패드와 스마트폰으로 조명, 냉난방, 환기·공기청정, 가스, 출입보안 등을 제어하는 스마트홈 기술을 각 가구에 적용해온 만큼 자체 플랫폼 개발에 자신감을 내비치고 있는 상황이다.삼성물산도 6월 자체 개발한 '래미안 IoT홈랩'을 개관하면서 스마트홈 시장에서 경쟁력을 키워가고 있다.당시 김명성 삼성물산 상품디자인그룹장은 "이통사 중심으로 흘러가는 IoT 서비스 시장에서 홈IoT 부문만큼은 건설사들의 입지를 지킬 것"이라며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 다양한 채널을 제공해 이통사들이 구현 중인 클라우드 시스템과 차별화를 뒀다"고 말했다.현대건설의 홈IoT 시스템 '하이오티(Hi-oT)'도 SK텔레콤과의 협업으로 개발될 예정이었지만 결국 자체적으로 마무리하면서 신규 단지에 적용 중이며 GS건설과 포스코건설은 카카오와 AI 서비스 개발 협력에 나서는 등 건설업계에 홈IoT 개발 열풍이 일고 있다.건설사들이 스마트홈 플랫폼을 자체적으로 구축하는 이유는 스마트홈 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는데다 이통사 등에서 제공하는 외부 플랫폼에 의존할 경우 축적된 데이터를 직접 활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한국스마트홈산업협회 자료를 보면 국내 스마트홈 시장 규모는 2016년 11조원에 불과했지만 내년에는 21조원을 넘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대형건설 A사 관계자는 "건설사도 스마트홈 플랫폼으로 확보한 데이터를 통해 주거맞춤형 설계 등 진화할 여지가 많다"며 "스마트홈 시장의 발전 가능성이 크다보니 이통사 뿐만 아니라 포털 등 여러 업계에서 경쟁에 뛰어들고 있는 상황인 만큼 손 놓고 구경만 할 수 없는 입장"이라고 말했다.건설사들의 이 같은 행보에 스마트홈 시장의 주도권을 잡고 있던 이통사들은 다소 불편한 기색을 내비쳤다.이통사는 기존 시장의 성장이 이미 한계에 도달한 만큼 스마트홈 시장으로 눈을 돌려 미래 성장을 도모했지만 최근 네이버, 카카오 등 국내 포털사가 스마트홈 시장에 뛰어들고 있는 가운데 건설사까지 자체 플랫폼 구축에 나서면서 이통 3사간 경쟁을 넘어 타 산업군과의 경쟁도 불가피해졌기 때문이다.특히 IT 기술 등 R&D 역량이 타 산업에 비해 부족하다고 평가받는 건설사의 스마트홈 플랫폼 자체 개발에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이통 B사 관계자는 "건설사의 자금과 기술을 고려할 때 월패드 수준에 그치는 등 플랫폼 개발에 한계가 따를 것"이라며 "왜 추가비용을 들여가면서까지 자체 플랫폼을 구축하려고 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실제로 시공능력평가 상위 10개사의 올 상반기 R&D 투자비용은 2259억원에 불과했다. 이통 3사의 3657억원보다 61.9% 적은 수치다.김민형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건설사들의 수익이 증가하는 만큼 시대 흐름에 따라 정보통신기술(ICT) 등 4차 산업혁명과 접목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지적한 바 있다.대형건설 C사 관계자는 "주택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진 만큼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독자적인 스마트홈 플랫폼 개발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이통사의 서비스가 더 좋을 수도 있겠지만 선택은 사용자가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