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 매출 5년 만에 감소세…실적 둔화 본격정부 규제 강화에 공급과잉 겹쳐 '역성장' 우려
  • ▲ ⓒ뉴데일리DB
    ▲ ⓒ뉴데일리DB
    올해 국내 경제여건이 녹록지 않은 가운데 건설경기도 어둠이 내려앉고 있다.

    건설 수주뿐만 아니라 건설업체 매출액도 본격적으로 둔화하면서 그동안 이어진 활황국면에서 벗어나 후퇴기에 접어들었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와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국내 건설 수주액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23.1%를 기록했다. 

    지난 2014년(16.3%) 이후 2015년(48.4%)에 큰 폭으로 증가해온 건설 수주는 2017년 하반기(-3.1%) 하락 전환했고, 지난해(-7.15)에도 감소세가 지속하고 있다.

    건설 수주 중 비주거용 건축 부문은 양호했으나 주거용 건축 부문이 급감하면서 건설 수주가 크게 감소했다. 

    선행지수인 건설 수주가 하락하면서 건설 투자도 빠르게 하락했다. 지난해 상반기 건설 투자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0.1%를 기록했다.

    건설업체 매출액도 5년 만에 감소세로 전환했다. 영업이익률은 증가했으나 건설기성 감소가 반영되는 올해부터는 실적 둔화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규제 강화, 건설경기 활황 장기화에 따른 공급 증가와 이로 인한 수급불균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종합건설업체의 매출액 감소, 영업이익률 하락을 예상했다.

    특히 9.13 부동산대책은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의 세율 인상과 금융규제 강화를 불러왔다고 진단했다. 

    이와 함께 다주택자 중심의 종부세 인상과 대출 규제 등으로 주택구매 수요가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9·13 대책의 주요 내용은 다주택자 중심 최고 세율 3.2% 인상, 고가주택 대출 금지, 유주택자에 불리한 청약제도 개편 등이다.

    여기서 문제는 공급과잉까지 겹쳐 건축 부문의 역성장이 우려된다는 점이다.

    정부 규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활황기에 착공한 건축물이 연이어 준공되면서 공급이 크게 늘어나 수급불균형에 따른 신규 착공 위축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특히 건축 부문을 주도하던 주택 경기가 위축되면서 신규 주택공급 역시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오피스텔, 아파트형 공장 등 수익성 부동산도 공급과잉 이슈로 신규 착공은 감소할 전망이다.

    서울과 지방의 양극화도 건설경기의 발목을 잡는다.

    정부는 서울 주택가격 상승 원인을 투기수요로 규정하고 도심 집중 및 재건축 사업을 제한했다. 

    하지만 서울 주택가격의 차별화에도 불구하고 전국 주택의 초과공급으로 주택경기 부진이 우려되고 있다.

    서울 도심에 대한 규제 확대로 공급 부족 현상이 굳어지는 가운데 서울 주택가격은 상승 내지 유지되는 상태다. 반면 지방은 주택공급 과잉 상태가 지속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주택구매 수요 둔화와 주택 공급물량 부담 등으로 올해 건설경기 침체가 지속될 것"이라며 "지난해 주택입주 물량이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해 향후 신규주택 공급 위축이 불가피하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