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조선소 ‘2년’·해양공장 ‘반년’, 일감 없어 가동중단사실상 수의계약과 3개월 불과한 협의 과정에 의심 ‘가득’
  • ▲ ⓒ현대중공업
    ▲ ⓒ현대중공업
    현대중공업의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두고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폐쇄했던 군산조선소와 해양공장도 정비하지 못한 상황에서 경쟁사를 인수한 것이 섣부른 판단이라는 지적 등이다.

    현대중공업은 지난달 31일 대우조선의 최대주주인 산업은행과 인수 관련 기본합의를 마쳤다고 발표했다.

    중간지주사인 조선통합법인을 설립해 기존 현대중공업을 투자부문과 사업부문으로 물적분할한다. 이를 통해 현대중공업지주 아래 조선통합법인(투자부문)을 두고, 그 아래 대우조선과 기존 현대중공업과 삼호중공업, 미포조선 등 4개 계열사 체제로 재편한다.

    산업은행은 지난해 초부터 대우조선의 새 주인 찾기에 나섰다. 출자전환 등으로 대우조선의 재무구조가 개선됐고, 시황도 회복세를 보여 민영화가 가능한 시점이 도래했다고 판단한 것.

    현대중공업은 조선산업의 발전을 위해 기존 빅3 체제를 빅2로 전환해야 한다고 계약을 추진했다. ‘조선업 큰형님’으로서 대우조선을 인수해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산업의 경쟁력을 한 단계 발전시키겠다는 계획이다.

    단, 이 과정에서 현대중공업이 극복해야할 난관은 너무나 많다. 군산조선소와 해양공장의 가동 재개 이슈가 첫 번째로 꼽힌다. 군산조선소는 2년, 해양공장은 반년째 일감이 없어 가동이 중단됐다.

    군산조선소의 가동중단은 지역경제에 큰 타격을 가져왔다. 현재 전북도와 군산시는 조선소 가동을 재개해라고 현대중공업을 압박하고 있는 형국이다. 현대중공업은 조선업황이 회복되고 있지만, 재가동까지는 시간이 걸린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대우조선 인수과정을 계기로 지역과 여론은 재차 지역조선소 가동을 재개하라는 목소리를 더욱 강하게 낼 것으로 관측된다.

    아울러 인수 배경에도 ‘뒷말’이 무성하다. 정부 주도로 해당 계약이 성사된 것 아닌지 의심하는 것이다. 매각방식도 문제가 된다. 공개입찰이 아닌 사실상 수의계약 형태이기 때문이다.

    산업은행은 대우조선 인수 의사를 현대중공업뿐만 아니라 삼성중공업에도 타진했지만, 이는 ‘보여주기식’이나 마찬가지다. 삼성중공업은 조선 빅3 중 형편이 가장 어려운 조선사다. 아울러 대우조선 보다 수주잔량이나 기업규모가 작기 때문에 인수전 참여는 사실상 불가능 할 것이란게 업계의 중론이다.

    일각에서는 산업은행이 ‘공개입찰’로 진행할 경우 중국 자본의 유입으로 국가 기간산업을 뺏길 수 있다고 우려해, 정부 등이 현대중공업을 인수처로 낙점한 것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또한 글로벌 1·2위 조선사의 합병이 짧은 시간에 진행된 점도 정부 개입을 의심케 하는 대목이다. 현대중공업은 지난해 10월말부터 산업은행과 협의를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겨우 3개월 만에 글로벌 시장점유율 21%가 넘는 ‘매머드급 조선사’가 탄생한 것.

    현대중공업은 대우조선 인수 과정에 외압이 전혀 없었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현대중공업의 입장과 달리 업계의 의구심은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군산조선소와 해양공장 등 내부현안이 정비되지 못한 상황에서 나타난 ‘빅딜’이기 때문이다.

    조영철 현대중공업 부사장은 “인수 과정은 현대중공업과 산업은행 어느 한쪽이 강제로 진행한 사안이 아니다”며 “조선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양 측이 함께 고민한 가운데 계약에 합의했다”고 선을 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