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연 1.75%…소수의견 등장금리 인하 기대 확산에 경계심 높여"가계부채 상당히 높아 금융안정 유의"
  • ▲ 이주열 총재. ⓒ한국은행
    ▲ 이주열 총재. ⓒ한국은행
    이주열 총재가 기준금리 인하 단계는 아직 아니라며 기존 입장을 재차 분명히 했다. 시장의 인하 기대에 대한 확대 해석도 경계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31일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통화정책에서 거시경제와 금융안정상황을 종합해 보면 금리 인하로 대응할 상황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날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연 1.75%로 동결했다. 지난해 11월 0.25%포인트 인상한 이후 6개월째 동결이지만 조동철 위원이 금리 인하 소수의견을 내면서 변화가 감지됐다.

    다수의 금통위원이 금리 동결을 주장한 것은 앞으로 성장 흐름에 큰 영향을 미칠 미·중 무역분쟁, 반도체 경기 등 대외여건의 전개 상황을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는 점, 물가상승률이 낮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으나 점차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는 점, 가계부채를 포함한 금융안정상황에 계속 유의할 필요가 있는 점 때문이다.

    이 총재는 특히 무역분쟁의 불확실성이 더욱 확대된 데에 우려감을 내비쳤다. 그는 "당초 무역분쟁 타결을 예상했지만 5월 들어 악화하는 쪽으로 진행되고 있다"며 "지난번 봤던 전망 경로의 변동성이 더 커졌다"고 진단했다.

    시장에서 금리 인하 기대감이 형성되는 것에 대해서는 1분기 마이너스 경제성장률을 나타낸 점, 낙관했던 무역분쟁이 방향을 튼 점을 꼽았다.

    하지만 지속적인 물가 하락, 즉 디플레이션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과도하다는 의견을 내며 금리 인하론에 다시 한 번 선을 그었다.

    이 총재는 "거시경제 측면에서 1분기 성장률은 부진했지만 앞으로 수출과 투자가 완화되고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정책에 힘입어 경제성장 흐름이 회복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이어 "낮은 물가는 공급 요인과 정부의 복지정책 영향이 커 통화정책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며 "지속되는 0%대 물가로 수요 측면에서 낮은 건 사실이지만 하반기로 갈수록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통화정책방향과 관련해 외환시장의 움직임에 관심이 높아진 것에 대해서는 "환율은 금리 하나로 결정되는 요소가 아니라 무역분쟁 전개 양상 등 글로벌 리스크 변화가 어떻게 바뀌는지, 우리나라 대외 건전성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에 영향을 받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외환시장에는 다양한 형태의 투자자 그룹이 참가해 이들의 환율 기대가 종합적으로 반영된다"며 "시장에서 금리 인하와 관련된 논의나 기대를 가지고 원·달러 환율 방향성을 예단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일축했다.

    최근 증가세가 둔화하고 있는 가계부채에 대해서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는 점을 재차 꼬집었다.

    이 총재는 "금융안정상황 측면에서 가계부채 증가세가 주춤해진 것은 사실이지만 어떤 지표와 비교해도 상당히 과한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우려했다.

    이어 "가계부채가 GDP의 100%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높아졌고, 가처분소득에 견줘도 OECD 국가 중에서 높은 편이며, 명목소득증가율을 웃도는 수준"이라며 "금융안정상황은 여전히 유의 깊게 살펴봐야 할 문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