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F·SPC 인수 규제 강화 등 투자처로 매력도 떨어져 대형저축은행 대비 소형저축은행 높은 부실율도 한몫
  • ▲ 저축은행중앙회ⓒ연합
    ▲ 저축은행중앙회ⓒ연합
    저축은행이 잇따라 국내 M&A(인수합병) 시장에 매물로 나오고 있으나, 각종 규제로 시장에서 좋은 대우를 받지 못하고 있다. 

    3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현재까지 M&A시장에 매물로 나온 저축은행은 총 11곳이다. 하지만 중·대형사인 OSB·애큐온을 제외하고, 시장에서 높은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OSB저축은행은 지난달 매각주간사로 삼성증권을 선정해, 인수희망자를 모색 중이다. 인수희망가는 3000억원대로 알려졌다. 애큐온저축은행도 홍콩계 사모펀드(PEF) 베어링PEA에 매각금액 6000여억원 선에서 협상을 진행 중이다. 

    반면 중소형사의 경우 인수자를 찾지 못해 매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삼보저축은행의 경우 2000년대 초반 이후 꾸준히 매물로 나오고 있으나 주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스마트·머스트삼일·DH· 대원 등도 수년째 매각을 추진 중이다. 

    이처럼 중소형저축은행이 국내 M&A시장에서 천대받는 이유는 까다로운 규제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지난 2017년 4월 저축은행의 투명성 및 대주주의 책임경영을 강화하고자 ‘상호저축은행 대주주 변경·합병 등 인가기준’을 마련했다.

    대부업체가 저축은행 인수 시 기존과 달리 구체적인 대부업체 철수 계획을 밝혀야 했다. 또 기존 대형저축은행의 과도한 영업구역 확대를 방지하기 위해 동일 대주주가 3개 이상 저축은행을 소유하지 못하게 했다. 

    또 사모펀드와 특수목적법인(SPC) 인수 시, 부적격자가 저축은행 대주주로 우회 진입하지 못하도록 장기적인 경영계획을 요구하는 기준을 마련했다. 이로 인해 사모펀드가 저축은행 인수 시 최소 10년 간 존속하며 경영계획을 제출해야 돼, 그 매력도가 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대주주 적격심사가 강화돼 진입장벽이 높아졌다. 

    또한 대형저축은행 중심의 사업 쏠림 현상도 중소형저축은행의 매각의 어려움을 주고 있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지난해 79개사의 당기순이익은 1조1185억원이며 이중 상위 10개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46%에 이른다. 총 자산 기준으로도 업계 전체(69조5271억원)의 45%를 차지한다. 

    반면 중소형저축은행은 주로 지역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최근 지방경기 침체에 따라 영업이익 감소뿐 아니라 연체율 상승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재 M&A시장에 나온 삼보저축은행의 경우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13억원 적자로 수년째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대원 및 DH저축은행도 지난해 8억원, 1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연체율 역시 상승 중이다. 금융위에 따르면 지방 저축은행의 경우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말 6.12%에서 올해 3월말 7.75%로 상승했다. 서울지역 저축은행 연체율(3.85%) 대비 2배에 달한다.  

    금융권 관계자는 “저축은행 인수와 관련해 각종 규제가 강화되며 투자처로 큰 매력을 잃어가고 있다”며 “기존 대형저축은행도 동일대주주가 3개 이상 저축은행을 가질 수 없다는 규제 때문에 섣불리 인수 의사를 밝히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