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초 실무진이 이상징후 발견해 상품 판매 중단"이학영 의원 "기은·산은 펀드 부적합 가입률 높아"
  • ▲ 김도진 기업은행장. ⓒ뉴데일리
    ▲ 김도진 기업은행장. ⓒ뉴데일리
    김도진 기업은행장이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상품(DLS·DLF) 관련 투자자 손실이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정무위원회 소속 이학영 의원(더불어민주당)은 14일 국회에서 열린 기업은행 국정감사에서 "기업은행도 2016년부터 DLS·DLF를 판매하다가 작년 12월쯤 중단했나"라고 질의했다.

    김 행장은 "작년까지 상품을 판매하다가 올해 초 영·미권의 금리 인하를 예상한 실무진들이 실무협의회에서 판매 중단을 결정했다"며 "이러한 판단을 경영진들이 받아들인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위기 징후를 빨리 발견한 것인가"라는 이 의원의 질문에 김 행장은 "미리 발견했으며, 투자자 원금손실은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또 기업은행과 산업은행의 펀드 부적합 가입률이 높은 점을 들었다.

    그는 "부적합 가입률이 높은 것은 고객의 투자성향과 다르게 위험한 상품을 팔았다는 건데, 불법은 아니더라도 바람직하지 않다"라며 "정책금융기관으로서 공격적으로 투자를 권유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고 질타했다.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은 "인터넷을 통한 가입의 경우 고객 투자성향과 달리 투자할 의사가 있다고 동의하는 경우가 있는데, 창구처럼 지도를 못 해 다소 비율이 높다"며 "향후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 의원은 "DLF 사태도 터졌으니 고객들에게 다시 권유문을 보낸다든지 등 개선책을 만들어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무위원회 소속 최운열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기업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DLF 사태 관련 판매경과 및 사후관리 체계' 자료에 따르면 기업은행은 미국·영국 금리연계 상품 등을 2016년 7월부터 총 2024억원 규모(1483좌)를 판매했다. 

    하지만 은행 내부의 시장예측과 리스크 점검에 따라 작년 12월 관련 상품의 판매를 모두 중단했다. 반면 KEB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은 상품 판매를 지속해 대규모 원금 손실 사태를 일으켰다. 

    최 의원은 "DLF 사건으로 제기되는 것처럼 겸영금융투자업자에 대해 제도적으로 상품판매를 제한하기보다는 내부통제시스템을 통해 스스로 위험을 평가하고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