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완결적 필수의료 구축 위한 전제조건로컬 안 가고 의대 교수로 남을 환경조성 급여 격차 줄이는 것이 시급한 과제 3차 병원, 구조조정해도 버티기 힘든 상황
  • ▲ 한승범 상급종합병원협의회장. ⓒ고려대의료원
    ▲ 한승범 상급종합병원협의회장. ⓒ고려대의료원
    "교육과 연구, 진료의 삼박자를 갖춰야 하는 상급종합병원의 기능이 축소되고 있다. 의정 대치 국면이 길어지면 사태 봉합 이후에도 교수 이탈 현상이 가속화할 것으로 보여 우려스럽다. 이 경우 지역완결적 필수의료는 완성되기 어렵다." 

    3일 뉴데일리를 통해 한승범 신임 상급종합병원협의회장(고대안암병원장)은 필수, 지역의료를 활성화하기 위해선 교수 이탈을 멈출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의대 교수 사직 문제와 셧다운 문제가 불거지고 있지만, 사태 봉합 이후에도 이탈 가속화는 우려스러운 부분이다. 이미 과거부터 교수급 의료진들이 종합병원이나 병원급으로 이동하는 현상은 계속 있었다. 

    한승범 회장은 "지방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바이탈 교수들의 이탈을 막도록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한 과제"라며 "여기엔 급여를 비롯한 근무조건을 얘기하지 않을 수 없다. 헌신과 사명감으로 버티기엔 넘기 힘든 벽이 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병원계에 따르면 (개인별 격차가 크지만) 상급종합병원 교수가 교수직을 떼고 일반 병원으로 넘어가면 기존에 받던 급여의 통상 3배 정도를 더 받을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굳이 소송의 위험과 번 아웃에 시달리면서 남아 있을 이유가 없어진 것이다. 

    현실적 측면에서 '필수의료 살리기'를 추진하려면 의대 교수들이 계속 자리를 유지할 수 있는 조건이 만들어져야 한다. 훨씬 더 좋은 선택지를 포기하려면 최소한 기준이 충족되는 것이 중요한 부분이다. 

    결국 정부가 강조하는 '지역완결적 필수의료'를 목적을 이루기 위한 필수조건이기도 하다. 금전적 보상의 문제를 빼면 실현 가능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 부분에 집중해 대책을 세워져야 변화의 토대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한 회장은 "단편적 수가 인상으로 풀기 어려운 상황으로 생태계 전환이 시급한 상황이다. 필수의료 교수가 지역에도 남아 있는 구조를 만들기 위해서는 지금과는 차원이 다른 영역이 재정 투입이 필수적인 상황임을 정부도 인지해야 한다"고 했다. 

    ◆ 무너지는 대형병원, 환자 피해 직격탄 

    의료대란 장기화에 따라 전국 47곳의 상급종합병원이 버틸 수 있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병원계의 중론이다. 실제 직원 월급도 지급하기 어려운 상황에 부닥쳤고 계속 구조조정을 해도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한승범 회장은 "문제의 심각성이 크게 와닿지 않는 사회 분위기이나 실제 3차 병원의 상황은 매우 심각하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태이고 병원만은 운영되도록 병원장들이 SOS를 치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대형병원이 기름기를 빼고 본연의 역할에만 충실하도록 조정하는 것이 의료전달체계 개편의 기본 원칙이나 단기간에 급격한 변화는 부작용이 발생한다. 전공의 비중이 높은 병원일수록 직격탄을 맞았다. 

    그는 "이미 다수의 병원이 병동 통폐합을 비롯한 다양한 대책을 쓰고 있지만 결국 병원이 무너지면 환자들이 갈 곳이 없어진다. 그것도 중증도 높은 환자 대처가 어려워지는 상황은 막아야 한다"고 진단했다. 

    수천억 원의 건보 재정이 투입된 상태지만 전체 수련병원으로 나누면 실질적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이 병원장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두 달이 넘게 매일 손실이 10억원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을 대처하긴 역부족이기 때문이다. 

    한 회장은 "진료비 선지급을 비롯해 병원 가동이 정상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대책이 마련되길 바란다. 이는 벼랑 끝에 몰린 상황에서 제시한 제안이므로 받아들여져야 할 부분"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