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인하 반대 후 통화긴축 견해 피력"미국과 금리 격차 유지해 리스크 대비해야"
  • ▲ 임지원 한국은행 금통위원이 13일 한은 본관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오찬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한국은행
    ▲ 임지원 한국은행 금통위원이 13일 한은 본관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오찬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한국은행
    임지원 금통위원이 10월 통화정책 결정 당시 기준금리 인하를 반대해 시장을 놀라게 한 이후 다시 한 번 '매파(통화 긴축 선호)' 색채를 드러냈다.

    13일 임지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은 취임 후 두번째 기자간담회에서 "우리나라 통화정책은 미국을 비롯한 주요 선진국과 차별을 둬야 한다"고 견해를 밝혔다.

    이어 "환율과 글로벌 경기와의 상관관계가 차별화되는 특징만 고려하면 우리나라와 미국의 통화정책이 다른 움직임을 보여도 전혀 이상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선진국은 통화가치가 경기역행적으로 움직여 통화정책의 경기안정화 효과를 상쇄하는 탓에 선제적이고 적극적으로 통화정책을 펴야 하지만 우리나라는 다르다는 것이다.

    그간 '중도파'로 인식됐던 임 위원의 매파적 성향이 뚜렷해짐에 따라 임 위원을 제외한 4명의 금통위원이 내년 4월 임기가 끝난다는 점에서 향후 추가 인하는 쉽지 않아 보인다. 금통위원 교체를 전후한 시점엔 통화정책 변경이 거의 없었다. 

    임 위원은 "우리나라와 같은 신흥국이 선진국과 어느 정도 금리 격차를 유지해야하는 건 당장 자본유출을 우려해서라기보단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금융 불안정 리스크에 대한 일종의 헤지 또는 사전적 건전성 확보 조치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나라의 대외건전성은 양호한 상황이나 지난 3~4년을 보면 그 정도가 조금씩 줄고 있다"며 "20년 사이 두번의 외환위기를 겪은 나라이므로 '숨겨진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가'라는 회의적인 시각도 여전히 있다"고 말했다.

    임 위원은 그동안 우리나라 금융시장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정책결정에 민감하게 반응해왔다는 점을 우회적으로 지적하기도 했다. 

    그는 "수년간 우리나라의 통화정책에 대한 시장의 기대가 주요 선진국 통화정책의 흐름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경향이 많았다"며 "통화정책 환경이 주요 선진국과 다르다는 점을 놓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생각된다"고 언급했다.

    이어 "비슷한 경기흐름에 직면해도 통화정책의 작동과정이 개별 경제의 금융·경제 구조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만큼 우리나라의 통화정책 선택이 주요 선진국과 차별화되는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글로벌 경기하강기에 금융안정 측면을 살펴봐야 한다는 점도 재차 강조했다. 금리 격차에 대한 신흥국 환율변동의 민감도는 선진국보다 높지 않으나 금리 격차가 줄거나 역전될 경우 자본유출과 통화가치의 급격한 하락이 우려되서다.

    임 위원은 "특정 신흥국의 대외건전성이 충분하지 않다고 평가되면 대외부채 상환 부담에 대한 우려와 자본유출로 인해 통화가치 하락 정도가 가속화될 수 있다"며 "전반적인 국내 금융상황을 긴축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실물경제의 부정적 상호 작용으로 증폭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 경기 성장세에 대해서는 "아직 조심스럽지만 2~3개월간 경제지표를 보면 성장률 둔화를 주도했던 제조업 부문이 악화되는 게 진정 모습을 보인다"라며 "그간 하락했던 것에 대한 기조적 반등일지, 개선으로 이어질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