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권역외상센터 본격적 운영과 확대 영향으로 분석서울 권역, 의료접근성 높지만 상대적으로 미흡한 수준
  • ▲ 전국 권역외상센터 현황 ⓒ보건복지부
    ▲ 전국 권역외상센터 현황 ⓒ보건복지부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이 30%대에서 10%대로 대폭 낮아졌다. 

    보건복지부는 10일 전국단위의 외상으로 사망한 환자 사례를 조사해 ‘2017년도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결과를 발표했다.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은 외상으로 인해 사망한 환자 중 적절한 시간 내 적절한 병원으로 이송돼 적절한 치료를 받았다면 생존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사망자의 비율이며 핵심적인 외상진료체계 성과지표다.

    이번 조사는 전국을 5개 권역으로 나누고 2017년에 중앙응급의료센터의 국가응급진료정보망(National Emergency Department Information System, NEDIS)에 등록된 외상으로 인한 사망자 중 총 1232명을 표본추출해 분석했다. 

    그 결과 모든 권역에서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이 낮아졌고 광주·전라·제주 권역의 경우 2015년 40.7%에서 2017년 25.9%로 14.8%p 낮아져 가장 큰 개선을 보였다. 다만, 현재 권역외상센터 개소를 준비하고 있는 서울권역의 경우는 같은기간 30.8%에서 30.2%로 0.6%p 개선에 그쳤다.

    그 외 인천·경기 권역 16.7%(’15년 27.4%, 10.7%p 감소), 부산·대구·울산·경상 권역 16%(’15년 29.4%, 13.4%p 감소), 대전·충청·강원 권역 15%(’15년 26%, 11%p 감소) 등 대부분 권역에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이 최소 10.7%p에서 최대 15%p까지 낮아졌다.

    타 지역 대비 의료접근성이 높은 서울 권역의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선정도가 크지 않은 점에 대해 연구자들은 “서울시에 중증외상환자를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적정규모의 외상센터가 운영되지 않고 있다는 점을 주요원인”으로 지적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중증외상환자의 권역외상센터로 신속한 이송여부 등 크게 2가지 요소가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과 긴밀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먼저 다른 병원을 거치지 않고 권역외상센터에 직접 찾아간 경우 사망률은 15.5%로, 다른 병원을 한 번 거쳐서 도착했을 때의 31.1%, 두 번 이상 다른 병원을 거쳤을 때의 40%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이송 수단에 따라서는 119 구급차로 내원한 경우의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은 15.6%로 다른 이송 수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결과는 중증외상환자의 경우 119구급차로 신속하게 이송하여 해당 지역 권역외상센터에서 치료받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이 획기적으로 개선된 배경은 중증외상환자 치료에 특화된 권역외상센터 개소와 정부의 집중적인 지원으로 분석됐다.

    2014년 3개 센터가 개소하며 본격적으로 운영되기 시작한 권역외상센터는, 2019년까지 총 14개가 문을 열었고 3개 외상센터가 개소를 위한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정부도 권역외상센터가 조속히 제도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전담인력 인건비 등 운영비를 지원하고 외상수가를 신설하는 등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 중이다.

    윤태호 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이 크게 개선된 것은 무엇보다 권역외상센터 의료진을 비롯한 여러 응급의료종사자 분들이 어려운 여건하에서도 환자 치료에 최선을 다해주신 덕분”이라고 밝혔다. 

    이어 “상대적으로 의료자원이 부족한 지역도 필요자원을 집중지원, 육성하고 지역내 협력체계를 갖추면 양질의 의료기반 구축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으며, 서울시와 협력하여 조속한 시일 내 서울지역 외상진료 기반도 확충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