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임자산운용 사태로 불붙은 펀드 환매중단 대란이 알펜루트자산운용까지 번지면서 증권사들의 자금회수가 도미노처럼 이어지고 있다.

    자금을 공급하는 역할을 맡은 증권사들이 한번에 운용사들의 펀드에서 자금을 뺄 경우 파장이 커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2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증권사들의 총수익스와프(TRS) 계약 해지 등으로 알펜루트운용의 총 2300억원 규모 펀드 환매 중단 가능성이 불거졌다.

    증권사들은 TRS 계약으로 자산운용사에 돈을 대주고 투자 컨설팅 등을 제공하는 프라임브로커리지서비스(PBS)를 제공해왔다.

    반면 라임운용의 대규모 펀드의 환매 중단 이후 증권사들의 TRS 관련 자금도 함께 묶여 회수가 어려워지자 알펜루트운용과 TRS 계약을 맺은 증권사들이 우선 변제권을 주장하고 나서고 있다.

    증권사 입장에서는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자금을 선제적으로 회수하는 것이지만 자산운용사 입장에서는 줄줄이 위기를 맞을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증권사가 TRS 자금 회수에 나서면 운용사 입장에서는 이 자금을 돌려주고 다른 자금으로 펀드를 메꿔야 한다"면서도 "보유자산 매각을 통한 현금화가 당장 어려워 유동성 문제에 빠지면 펀드 전체의 운용이 어려워진다"고 말했다.

    특히 증권사 자금회수에 영향을 받은 타 기관투자자들까지 알펜루트운용의 펀드 환매를 요구하면서 한순간에 자금난은 악화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문제는 알펜루트운용 뿐 아니라 다수의 자산운용사가 TRS 계약을 통해 증권사에서 빌린 돈으로 펀드를 운용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비슷한 상황이 속출할 수 있다는 점이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 국내 주요 증권사들이 TRS 계약으로 자금을 대준 운용사는 20곳에 육박하며 총 2조원규모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라임운용과 달리 알펜루트운용의 경우 운용 부실보다는 증권사가 선제적으로 자금회수에 나섰다는 점에서 타 운용사들도 비슷한 상황에 처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통상적인 방식인 TRS 계약을 통해 자금을 운용하는 탄탄한 자산운용사들도 증권사들의 펀드런에 경계하고 있다"며 "개방형 펀드의 경우는 특히 투자자들이 대거 환매를 요구할 수 있어 앞으로 큰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