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해킹 아닌 도용"'이중 보안 서비스 설정' 등 소비자 주의 당부4월 총선 여론 조작 수단 악용 우려 제기도
  • ▲ ⓒ뉴데일리DB
    ▲ ⓒ뉴데일리DB

    최근 네이버 아이디 불법 거래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네이버가 자사 클라우드 서비스 해킹이 아니라며 선을 긋고 있다.

    일부 사용자 계정이 외부에 유출된 뒤 도용된 것으로, '이중 보안 서비스' 설정 등 사용자의 철저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1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신용현 바른미래당 의원은 최근 원내정책회의에서 네이버 아이디가 불법으로 거래되고 있어 오는 4월 총선 여론 조작 수단으로 악용될 소지가 있다고 내다봤다.

    신 의원은 "네이버 아이디 3시간 이용은 800원, 장기 사용할 수 있는 영구 아이디는 1만 5000원에 거래되고 있다"며 "구매한 아이디를 통해 카페에 가입하는 것은 물론 기사 댓글, 좋아요 등의 의견표시도 가능했다"고 말했다.

    이어 "김경수 경남지사가 연관돼 있는 드루킹 댓글 조작사건이 보여주듯, 선거과정에서 여론을 조작하고 민의를 왜곡할 수단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농후하다"며 "총선이 70여일 남은 상황에서, 횡행하는 불법 아이디 거래는 매우 우려스럽다"고 강조했다.

    이에 네이버 측은 자사 클라우드 서비스의 해킹 피해가 아니라고 일축했다.

    클라우드에 저장된 개인정보는 아이디, 비밀번호가 노출되지 않는한 개인정보보호 방침에 따라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다시말해 이번 논란은 해킹이 아닌 도용에 따른 불법 사례로, 개인정보를 다른 사람에게 알려주지 않거나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 등 소비자의 주의로 얼마든지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네이버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2단계 인증 서비스를 당부하고 있다.

    본 서비스는 이용자가 사용 중인 스마트폰을 인증 기기로 설정해 로그인 시 해당 기기의 네이버앱으로 인증 알림이 발송, 해당 알림을 통해 로그인을 허용해야만 인증되는 이중 보안 서비스다.

    설사 ID를 도용당했다 하더라도 내가 설정한 스마트폰 기기에서 로그인을 허용해야 로그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내 데이터를 안전하게 지킬 수 있다는 설명이다.

    네이버는 "다양한 보안 기능 제공을 통해 고객 ID를 안전하게 지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앞으로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일각에선 도용 책임을 이용자에게만 떠넘기는 게 아니냐며 비판의 목소리도 일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우리 국민 대부분이 가입자로 등록돼 있는 네이버가 근본적 해결책을 내놓기는 커녕, 소비자의 주의만을 당부하는 것은 옳지 못한 처사"라며 "수사기관에만 의지할 것이 아니라 네이버가 자체적인 해결책을 내놓는 등 관련 책임과 역할을 제대로 짊어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