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항공이 유통성 숨통을 튼다. 1조2000억원 규모의 산업·수출입은행의 긴급 경영자금 지원과 더불어 정부의 기간산업 안정기금도 지원받게 됐다.
산은과 수은은 25~27일 각각 신용위원회와 여신위원회를 열어 대한항공 지원안을 의결했다. 지원조건은 특별약정 체결로 대한항공의 재무구조 개선계획을 토대로 맺는다.
대한항공은 양 기관에 자구안을 제출한 상태로 1조 규모 유상증자, 종로구 송현동 부지와 왕산마리나 운영사인 ㈜왕산레저개발 지분 매각 등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함께 거론된 기내식, 항공기정비(MRO) 사업부 매각 등은 이번에는 배제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별약정 담보는 그룹 지주사 한진칼이 맡는다. 담보물은 7월 대한항공 유상증자에서 취득할 3000억원 규모의 신주(약 2377만주)다.
담보는 대한항공이 특정 조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채권단 측으로 처분권이 넘어간다. 조건 충족 기한은 내년 말이다. 처분권 전환 시점은 2022년 1월이다. 한진칼은 전날인 25일 이사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결의했다.
채권단이 내건 조건은 외부에 알려지지 않았지만, 앞서 논의된 1~2조 규모의 자체 자본 확충 등이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채권단은 7000억원 규모 자산유동화증권(ABS) 인수, 3000억원 규모의 영구채(발행 1년 후 주식전환) 인수, 2000억원의 운영자금 대출 등 총 1조2000억원을 대한항공에 지원한다. 산은과 수은의 부담 비율은 6대 4다.
국가기간 안정기금을 통한 추가 지원도 가닥이 잡혔다. 최근 40조원 규모의 기간산업 안정기금을 편성한 정부는 항공, 해운 등 코로나19 피해가 큰 기간산업에 우선 지급키로 했다. 항공사의 경우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1차 대상이며 역시 산은 등 국책은행을 통해 이뤄진다.
올해 대한항공은 회사채, ABS 등 3조8000억원의 차입금을 외부에 갚아야 한다. 항공기 리스료 등 월 고정비도 약 5000~6000억원에 달해 부담이 큰 실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대한항공 등 대형 국적항공사 위주의 지원을 약속한 만큼 기간산업 기금을 통한 추가 지원이 유력하다”며 “현재 산은과 수은이 지원을 확정한 1조2000억원으로는 상반기를 버텨내는데도 빠듯해 추가 자금 수혈이 필요할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