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억원 투자, 생산능력 9000t 확보2022년 생산능력 총 5만2000t으로 확대글로벌 진출 등 추가 증설 계획도 검토 중
  • ▲ 제6공장이 들어설 SK넥실리스 정읍 공장. ⓒSKC
    ▲ 제6공장이 들어설 SK넥실리스 정읍 공장. ⓒSKC

    SKC의 동박 제조 투자사 SK넥실리스가 제6공장 증설 투자를 조기에 결정했다. 3월 제5공장 투자에 이어 SKC의 일원이 된 뒤 두 번째 투자 결정이다. SK넥실리스는 이후에도 추가 증설 투자를 빠르게 진행해 글로벌 넘버 원 동박 제조사로서 입지를 굳힐 계획이다.

    7일 SKC에 따르면 SK넥실리스는 전북도, 정읍시와 전기차 배터리용 음극 핵심소재인 동박 공장을 증설하는 투자협약을 맺었다. 1200억원을 투자해 8월 정읍공장에 연산 9000t 규모의 제6공장을 착공한다. 2022년 1분기 완공이 목표다. 6공장이 가동하면 SK넥실리스의 동박 생산능력은 5만2000t으로 늘어난다.

    이번 투자 결정은 빠르게 성장하는 동박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동박 시장은 전기차 배터리 시장과 함께 급속도로 팽창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동박이 쓰이는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2025년까지 매년 40% 수준으로 성장한다.

    특히 SK넥실리스가 생산하는 6㎛ 이하 극박 동박 수요는 더욱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전기차 주행거리를 늘리기 위해서는 배터리 고용량화, 경량화가 필요한데 여기에는 극박 제품이 유리하다. 배터리에 많은 활물질을 담을 수 있어 효율이 좋아진다. SK넥실리스는 세계에서 가장 얇은 4㎛ 동박을 1.4m 광폭으로 세계 최장인 30㎞ 길이로 양산하는 기술력을 갖고 있다.

    SK넥실리스는 공급 부족이라는 시장 특성과 기술력 경쟁 우위 등을 고려해 생산능력을 빠르게 확대하기로 했다. 올해 초 4공장 증설을 마치고 3만4000t의 생산능력을 갖춘 SK넥실리스는 올해 3월 5공장 증설을 발표하고 2021년 3분기 완공을 목표로 9000t 규모의 공장 건설에 착수했다.

    SK넥실리스는 글로벌 증설도 검토하고 있다. 배터리 고객사가 있는 미국, 유럽, 아시아 등에 진출하면 고객사의 요청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해당 지역에는 SKC의 여유부지가 있어 거점 마련 속도 등 여러 면에서 유리하다.

    SK넥실리스 측은 "3월에 이어 석 달 만에 추가 증설 계획을 밝힌 것은 기술력을 가진 SK넥실리스의 자신감을 보여준다"며 "이후 추가 증설 계획도 글로벌 증설을 포함해 빠르게 확정, 글로벌 넘버 원 동박제조사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