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금연 ‘코로나19 대응 세미나’ 개최연체율‧신용위험 증가로 은행 대손비용↑은행 핀테크 개발비용, 세제혜택 제안
  • ▲ ⓒ한국금융연구원
    ▲ ⓒ한국금융연구원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로 전방위적인 금융지원들이 쏟아지는 가운데 은행권이 채권회수 불가능으로 인한 대손충당금이 급격히 늘어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국금융연구원은 10일 코로나 위기와 금융권 대응 세미나를 열고 “코로나 위기 회복이 지연되면 은행의 수익성과 건전성이 악화되고, 이는 다시 실물부문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등 악순환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며 이같이 평가했다.

    정부의 금융지원정책에 따른 금융권의 지원액은 현재 175조원에 달한다. 소상공인과 중소‧중견기업지원에 61조6000억원, 금융시장안정조치에 73조5000억원, 기간산업안정기금설치에 40조원 등이 투입됐다.

    금융권과 경제계안팎에서는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이 보급되기 전까지 경기회복속도가 둔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하고 있다. 코로나19 대응과 경제활성화 간 상충관계 때문에 ‘봉쇄조치→감염병 확산세 진정+경기위축→봉쇄조치완화→경기회복+감염병 재확산→봉쇄조치 재강화’ 과정이 반복되며 경기변동이 확대되고 있어서다.

    이런 위기과정에서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이 혼조하며 금융권 부채규모가 확대될 것이란 전망이다.

    임형준 한국금융연구원 자본시장연구실장은 이날 세미나에서 “경기부진과 안전자산 선호, 비대면 금융거래 확산 등으로 은행권 비이자이익 감소가 예상된다”며 “하반기 이후에는 대출 수요가 감소하면서 이자이익도 축소되거나 정체를 겪을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했다.

    이어 “경제전망 하향이 기대신용손실에 반영되면서 은행의 대손충당금 적립부담은 증가할 것”이라며 “비관적 시나리오 가정시 일반은행의 대손비용은 전년(1조6000억원) 대비 1조원에서 1조5000억원 가량 증가할 것”이라 내다봤다. 

    연체율 상승 등으로 대출에 대한 신용위험이 증가해 이를 대손충당금으로 추가 적립해야 한다는 의미다.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하기 위한 은행권 전략으로는 개방형 혁신과 디지털전환을 통한 비용절감 등이 제시됐다.

    임 실장은 “디지털 전문기업에 대한 대출투자에 대한 기술금융평가시 정책적 유인의 한시적 확대와 은행권 핀테크 관련 연구개발 인력과 비용에 대해 일반기업과 유사한 세제혜택을 줄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