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임사태 이어 P2P 까지 환매 실패 후폭풍 지속금융권·당국 나선 강력추천 상품서 잇따라 문제투자자 신뢰 추락·사후 미온적 대처도 논란키워
  • 라임 사태 이후 사모펀드 불신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지만 오히려 시장의 불안감은 더욱 확산되고 있다.

    금융권에 이어 금융당국이 앞장서 혁신으로 인증한 상품까지 원리금 상환에 실패하면서 연초이후 보인 금융권의 자기성찰도 원점으로 돌아가게 됐다.

    2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이 혁신금융서비스 제공 기업으로 인증한 개인 간 거래(P2P) 대출업체 ‘팝펀딩’에 투자한 펀드상품이 투자 원리금 상환에 실패했다.

    팝펀딩 환매중단 문제는 1조원대 환매 중단사태를 일으키고, 현재는 정관계 유착의혹이 불거지는 라임자산운용 사태에 또 다른 사건이 얹어진 것으로 사모펀드업계는 잇따른 악재로 곤혹스러운 입장이다.

    라임사태와 팝펀딩은 환매중단 규모(각각 1조6600억원대, 350억원대)로는 동일 선상에서 비교하는 것이 무리고, 운용방식에도 큰 차이를 두고 있다.

    그러나 업계와 투자자가 팝펀딩을 라임사태의 연장선으로 보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투자자에 대한 판매사의 강력한 추천으로 자금을 끌어모았다는 점이다.

    특히 팝펀딩의 경우 금융권이 아닌 정부가 앞장서 '금융혁신' 사례로 꼽았고, 정부 당국의 추천을 등에 업은 대형 금융사들이 판매에 나섰다 환매중단 충격을 입게 됐다.

    결과적으로 부실기업을 금융당국 수장이 나서 홍보해준 모양새가 된 부분에 대해 당사자인 금융당국은 당혹감 속에서도 선긋기에 나선 모양새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지난 16일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팝펀딩 투자펀드와 관련해 "저와 관계있든 없든 금융당국 수장으로서 안타깝게 생각한다"면서도 "특정 기업을 격려하기 두려워졌다"고 말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팝펀딩은 당국이 직접 나서 투자자들에게 신뢰를 심었고, 사태가 발생한 만큼 책임에서 자유롭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반면 당국은 여전히 조치나 대책에 미온적인 상황으로, 금융권은 팝펀딩 사태에 대한 당국의 처리계획에 주목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라임사태로 인해 사모펀드 규제 풀기에 급급해 안전장치 마련에 소홀했다는 비판에 직면한 상황에서 스스로 극찬했던 팝펀딩까지 환매중단사태까지 이르는 결과를 가져왔다"며 "팝펀딩 사태는 또 하나의 관제 펀드 실패 사례라는 오명을 쓸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고 말했다.

    이어 "팝펀딩 환매중단이 제2의 라임사태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서 이번 책임을 판매사인 금융권으로 돌리기는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결국 금융투자업계는 잇따른 펀드환매 실패 사례로 악재를 맞게 된 상황에서 라임사태 이후 판매사별로 고객 신뢰회복을 위한 인사·조직개편을 비롯한 환골탈태 노력도 빛이 바랠 상황을 맞게 됐다.

    P2P업계도 악재다.

    8월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법(온투법) 시행과 함께 제도권 금융으로 발전을 준비 중인 P2P 산업도 팝펀딩 사태로 신뢰에 타격을 입었다.

    특히 P2P 업계를 주도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부동산PF(프로젝트파이낸싱) 투자 상품은 이미 줄어들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