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순풍… 수소 생태계 열린다2025년 본격 만개… 전기차 병행노선에서 180도 입장 변화日 EU 美 참전… 글로벌 표준화 경쟁
  • ▲ 활용 영역을 넓혀가는 수소 경제 ⓒ현대자동차그룹(HMG) 저널
    ▲ 활용 영역을 넓혀가는 수소 경제 ⓒ현대자동차그룹(HMG) 저널
    '수소시대'가 머잖았다. 글로벌 주요 국가들은 저마다 다가올 수소시대 마중에 나섰다.

    선두주자는 수소연료전기자동차다.

    한국과 일본을 필두로 독일과 미국, EU까지 잇따라 참전을 선언한 상태다. 관건은 어느 누가 글로벌 표준화에 성공하느냐 여부다.

    그동안 수소 산업이 태동기에 있었다면 내년부터는 충전소 설치뿐만 아니라 선박, 지게차 등 다양한 운송수단이 본격 만개하는 원년이 될 것으로 보인다. 화석 연료가 차지하던 에너지원을 수소로 바꾸는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이 눈앞에 다가온 것이다.

    정부는 ‘한국판 뉴딜’ 정책의 양대 축 가운데 하나인 그린 뉴딜에 총 73조4000억원을 투입한다. 그린 뉴딜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풍력, 수소 등의 비중을 높이고 인프라 녹색 전환의 추진 등을 골자로 한다.

    특히 앞으로 5년간 총 20조3000억원을 투자해 수소연료전기차 20만 대 시대를 연다는 계획이다. 충전 시설은 450대로 늘리기로 했다. 

    이와 함께 경기 안산과 울산, 전북 전주 등 세 곳을 수소 시범 도시로 조성한다. 수소 생산과 유통, 활용 전반에 걸친 ‘수소 밸류체인(가치사슬)’이 구축되는 것이다. 이 밖에 여객 등에 쓰이는 수소연료전기차에 연료 보조금을 지급하고 관련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업계는 코로나19(우한폐렴) 사태가 촉발한 격변의 시기를 맞아 수소 경제가 차세대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 맥킨지는 수소 경제 규모가 오는 2050년까지 연간 2조5000억달러(약 2993조원)로 성장하고 누적 3000만 개의 일자리를 만들어 낼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전 세계가 사용하는 에너지 중 18.0%가량은 수소가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수소 경제는 전후방 연관 효과가 커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면서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자리 잡을 것이란 분석이 많다.

    정부의 뉴딜 정책 발표로 수소 사회를 향한 속도는 더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를 필두로 한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민간 차원의 노력도 활발하다. 

    현대차는 1998년 수소연료전기차 개발에 착수한 뒤 전 세계 최초로 양산 시대를 열었다. 지난 상반기(1~6월) 팔린 넥쏘는 지난해 동기(1546대) 대비 69.0% 늘어난 2612대에 달했다. 이 기간 수출은 67.7% 증가한 681대를 기록했다.

    이달 초 부터는 대형 엑시언트 수소연료전기트럭을 스위스에 처음 수출했다. 2025년까지 1600대를 스위스에 공급한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 ▲ 수소 사회 이미지 ⓒ현대자동차그룹(HMG) 저널
    ▲ 수소 사회 이미지 ⓒ현대자동차그룹(HMG) 저널
    수소 사회 선점을 위한 주요 국가의 발걸음 역시 빨라지고 있다. 순수 전기차와 병행노선을 유지하면서 미온적인 반응을 보인 것과는 180도 다른 태도다.

    이 같은 정책적 변화의 가장 큰 이유는 기후변화와 관련한 대응 때문이다. 내년부터는 파리기후변화협약(파리협약)이 시행돼 5년마다 정기적으로 이행 실적을 점검하고 보다 상향된 감축 목표를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사무국에 제출해야 한다.

    비록 미국은 지난해 11월 파리협약에서 공식 탈퇴했지만 전 세계 195개 국가가 서로 다른 이해관계 속에서도 합의를 도출해 실질적인 강제력을 가진다.

    가장 공을 들이는 국가는 독일이다. 이미 공식적으로 참전을 알렸다. 독일 정부 2050년 탄소 배출 제로(0)를 목표로 지난달 ‘국가 수소전략’을 발표했다. 90억유로(약 12조6000억원)를 투입하고, 2040년까지 10GW(기가와트)의 수소 생산 능력을 갖춘다는 구상이다.

    유럽연합(EU)은 ‘EU 수소전략’을 전격 내놓고 수소 생산을 위해 2030년까지 420억유로(약 58조8000억원)를 쏟아붓는다. 수소 저장과 유통 등에 투자하는 금액은 2050년까지 4700억유로(약 658조원)에 달한다. 나아가 수소연합’ 창설하고 다양한 실증 사업에 나서 선제적 행동을 취한다는 목표다.

    일본과 미국 등은 일찌감치 수소 사회를 대비한 전략을 마련해 꾸준하게 추진 중이다. 일본은 2030년 수소연료전기차 80만 대, 충전 시설 900개 보급, 가정용 연료 전지 530만 대를 공급하기로 했다.

    미국은 캘리포니아주가 주도하고 있다. 2030년까지 수소연료전기차 100만 대를 보급하고 충전 시설 1000대를 지을 방침이다.

    조병현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주요 국가가 경기 부양 수단으로 환경 관련 투자를 활용하려는 의중을 보이고 있다”며 “정책적 연속성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