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주식 수요 증가에 은행 가계대출 60조 급증부채 눈덩이처럼 쌓이면서 경제 회복 부담 우려금융당국, 가계부채 실태 파악 및 규제 방안 검토
  • ▲ ⓒ뉴데일리
    ▲ ⓒ뉴데일리
    우리나라의 은행권 가계대출이 매달 폭증하면서 금융 건전성과 실물 경제에 악영향이 미칠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1~8월까지 은행 가계대출은 60조1000억원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34조6000억원보다 두배 가량 급증한 수치로 5대 시중은행의 신용대출 잔액만 2조원 넘게 급증했다. 

    이 같은 가계대출 증가는 부동산 투기에 이어 주식시장에서도 같은 현상을 보이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내 집 마련, 주식 투자, 전세자금 수요가 몰리면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지난 2분기말 기준 우리나라 전체 가계빚은 1637조3000억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는데 내년에는 1700조원대를 돌파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전문가들은 부채가 눈덩이처럼 쌓이면서 우리나라 경제 회복의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소득보다 빚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실직이나 자산가격 급락 등으로 가계빚 부실 위험도 커질 수 있다는 진단에서다. 

    실제로 대출을 받은 10명 중 2명 이상은 대출금액이 한 해 처분가능소득의 3배를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김두관 의원이 한국은행과 통계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이 200% 이상인 사람의 비중은 33.8%를 보였다. 소비를 하지 않고 모든 소득을 다 모아도 빚을 갚을 수 없다는 얘기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이 200% 이상인 사람의 비중은 2017년 31.7%, 2018년 33.5%를 거쳐 지난해까지 상승중이다.

    반면 이 비율이 50% 이하인 대출자 비중은 2017년 31.1%에서 이듬해 29.8%로 떨어지더니 지난해까지도 같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부채 실태 파악에 나선 상황이다. 차주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적용이 적절하게 이뤄지고 있는지, 주택대출규제의 우회 수단으로 악용되는 사례가 없는지를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이에 시중은행은 금융당국의 권고에 따라 고신용·고소득 전문직의 대출한도를 줄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금융당국은 저소득·저신용자의 경우 위기를 가중시킬 수 있는 위험이 큰 만큼 규제를 강화하지 않는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