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정신병약물 복용 유지 결정 등 근거 작용
  • ▲ 김의태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분당서울대병원
    ▲ 김의태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분당서울대병원
    조현병, 조울병 등 정신증 환자 치료 시 도파민 시스템을 확인해야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서울대학교 뇌인지과학과) 김의태 교수팀이 항정신병약물 치료 종결 후 정신증 재발 여부에 따른 도파민 시스템의 변화 차이를 분석해 21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최소 1년 이상 항정신병약물 치료를 받고 증상이 완화된 초발 정신증 환자 25명 조현병 20명(우울장애포함), 조현정동장애 2명, 망상장애 2명, 양극성장애(조울병) 1명을 대상으로 도파민 관찰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증상이 완화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4주에 걸쳐(week0~week4) 투약 용량을 점차 감량한 뒤 치료를 종결했다. 

    감량을 시작한 시점(치료 종결 전, week0)과 치료 종결 후(week6)에 도파민 분비량을 측정했고, 16주차에는 정신증 재발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증상이 재발한 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 사이의 차이점을 살펴봤다. 

    분석 결과, 총 25명의 환자 중 10명의 환자에서 정신증 증상이 재발했는데, 증상 재발 그룹에서는 치료 종결 후 실시한 검사에서 도파민 분비가 증가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안정적으로 치료 효과가 유지된 그룹은 도파민 분비가 저하된 양상을 보였다. 

    김의태 교수는 “항정신병약물 치료를 끝낸 후 도파민 분비가 향상된 환자들은 증상 재발률이 더 높았는데, 이러한 환자의 경우에는 치료기간을 좀 더 연장해야 한다는 객관적 근거를 제시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이어 “도파민 시스템의 변화를 관찰하면서 정신증을 치료한다면 환자 개개인에 맞는 맞춤 치료를 제공할 수 있고, 치료효과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정신과학 연구 최고 권위지인 '분자정신의학'(Molecular Psychiatry) 최신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