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초 보름동안 800여 업체 참여 예정올해 행사 온라인·비대면 중심으로 추진유통업계 "올해도 구색 맞추기" 지적도
  • 정부가 매년 가을 개최하는 쇼핑행사 ‘코리아세일페스타’를 11월 초 보름 동안 열기로 했다. 올해로 6년째지만 매해 흥행이 저조한 가운데 코로나19 사태를 맞은 올해도 썩 좋지 못할 것이라는 분위기가 벌써부터 감지된다.

    5일 행사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해 코리아세일페스타(이하 코세페)가 오는 11월 1~15일 보름간 열린다. 코로나19로 침체된 내수 상황을 반영하듯 행사 슬로건은 ‘힘내요 대한민국! 2020 코리아세일페스타’로 정했다.

    이번 코세페는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등의 회복을 위해 마련된 것으로 정부 부처와 17개 시·도의 지원을 바탕으로 기업과 소비자 등이 모든 경제 주체의 참여를 장려하고 있다.

    행사는 코로나19 사태를 고려해 온라인·비대면 중심으로 추진된다. 오프라인 행사 진행이 불가피한 경우 △오프라인 행사규모 최소화 △한층 강화된 방역수칙 적용 △드라이브 스루(승차) 등 비대면 방식 강구 등을 원칙으로 사회적거리두기를 염두에 두고 치러진다.

    정부가 올해 코세페 중 하루는 부가세(10%)를 환급해 줘 소비를 촉진시키겠다고 지난해부터 예고했지만 무산됐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부가세 환급은 신규 소비 수요를 창출하기보다 미래의 소비를 앞당기는 효과에 그친다”며 제동을 걸었기 때문이다.

    대신 정부는 올해부터 시행된 공정거래위원회의 ‘백화점 특약 매입(할인분의 50% 부담)’ 지침을 코세페 기간에 예외적으로 해지하기로 했다. 직매입의 특성상 대거 할인행사가 가능한 대형마트의 경우 올해는 한시적으로 일요일 의무휴업을 평일로 변경할 수 있을지도 관전 포인트다. 

    정부 관계자는 ”방역대책본본·지자체와 긴밀히 협의해 안전한 소비진작행사 추진을 위한 철저한 방역 준비는 물론 업계의 할인여력을 높이고 전국적 소비분위기 조성을 위해 범정부적 총력 지원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 ⓒ뉴데일리DB
    ▲ ⓒ뉴데일리DB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해 코세페에는 800개 이상의 업체가 참여한다. 코세페 참여업체 수는 행사 첫해였던 지난 2015년 92개에서 8배가량 증가했다. 백화점, 대형마트, 홈쇼핑, e커머스, 백화점 온라인쇼핑몰 등 대표적인 유통업체들이 참가 의사를 밝혔다. 

    정부는 매년 참여업체 수가 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지만 정작 업체들은 참가에 큰 의미를 두지 않아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지난해에도 백화점과 마트는 물론 명동 소상공인까지 모두 참여했다”며 “기간만 정해주고 세일하라는 게 아니라 내수 소비를 이끌어 낼 정확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코세페가 가져오는 경제효과가 미미하다는 점도 업체들이 행사 준비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 이유다.

    한 대형 백화점 관계자는 “이번주부터 관련 부서에서 준비에 나설 것”이라고 전했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도 “아직 코세페 관련 마케팅을 진행하는 것은 없다”면서 “올해도 구색 맞추기 식에 그치지 않을까 싶다”고 귀띔했다.

    코세페가 이처럼 매년 고전을 면치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처럼 ‘화끈한 할인율’을 제공할 수 없는 한국의 유통구조에 있다. 업계에 따르면 코세페와 블랙프라이데이의 할인율은 40∼50%까지 차이가 난다. 

    이는 국내 백화점 등 유통업체들이 제품을 직접 구매해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제조업체들로부터 수수료만 받고 매장을 빌려주는 형식이어서 할인율을 유통업체 마음대로 조절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비인기 상품에 어중간한 할인율을 적용하고, 이는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올해는 코로나로 인해 오프라인 대신 대부분의 행사와 혜택이 온라인에 집중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온라인 쇼핑 시스템 구축이 늦은 기업들은 연말 쇼핑 릴레이에서도 큰 효과를 보지 못할 것이란 지적도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연말까지 이어지는 쇼핑 릴레이 역시 이커머스 등 온라인에 수요가 몰릴 것"이라며 "상대적으로 온라인·모바일화가 늦은 기업들은 오히려 예년만 못한 상황이 올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