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이동통신 3사가 5G 고가 요금제 논란과 관련, 요금제 인하에 속도를 내겠다는 뜻을 밝혔다. 불법보조금 지급과 관련한 지적에는 재발방지책 등을 철저히 준수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변재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8일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방통위 국정감사에서 "이통사들의 고가 요금제는 항상 논란이 되고 있다"며 "온라인을 통한 개통서비스 등 유통구조 개선을 통해 요금제 부담을 20~30%까지 절감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신속한 요금제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증인으로 출석한 이통 3사 임원들은 이 같은 의견에 대해 적극 공감하며 발빠른 대책 마련을 약속했다.

    유영상 SK텔레콤 MNO 사업대표는 "SK텔레콤도 고객 친화적이고 편익을 증대할 수 있는 요금제 개편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며 "올 연말, 늦어도 내년 초까지 마련하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국현 KT 커스터머부문장 부사장은 "올해 온라인 개통 비중이 늘어났고 좀 더 늘어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다만 기존 유통구조가 온라인에 적용하기까지 시간이 필요한 만큼 그 부분까지 고려해 준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황현식 LG유플러스 사장은 "관련 의견에 적극적으로 동의한다"며 "열심히 준비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정희용 국민의힘 의원은 "이통 3사는 불법보조금 지급으로 512억원의 과징금이 부과됐지만, 비밀영업팀을 만들어 불법보조금을 살포하고 있다는 보도도 나오고 있다"며 개선 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유 대표는 "일부 오해가 있지만 시장을 혼탁하게 한 점에 대해서는 죄송하게 생각한다"며 "차별적 장려금 문제가 가장 큰 원인으로,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여러 시스템과 제도를 개선할 것"이라고 피력했다.

    황 사장 역시 "방통위와 재발방지책을 마련했으며, 철저히 준수한다면 근절할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이 밖에도 이통 3사 임원들은 신속한 5G 커버리지 구축에 나서겠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유 대표는 "2022년까지 85개시 전체에 5G 커버리지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고, 당초 계획보다 확산세가 빠르도록 할 것"이라며 "5G 커버리지맵의 구체적인 내용까지 공개하는 부분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강 부사장은 "KT의 경우 5G 상용화 당시 가장 많은 투자를 진행했으며, 올해에는 '코로나19' 사태로 지연된 부분이 있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적은 수준은 아니다"라며 "적극적인 투자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