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시장 점유 20%-고급인재 3천명 양성'...2대 전략 마련산업부, '인공지능 강국 실현 위한 AI반도체산업 발전전략' 발표
  • ▲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통상자원부
    정부가 2030년까지 인공지능(AI) 반도체를 '제2의 D램'으로 본격 육성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2일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제13회 과학기술 관계 장관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인공지능 강국 실현을 위한 인공지능 반도체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정부는 인공지능 반도체 선도국가 도약을 위해 2030년까지 ▲글로벌시장 점유율 20% ▲혁신기업 20개 양성 ▲고급인재 3000명을 양성하고 이를 위해 퍼스트무버형 혁신 기술·인재 확보, 혁신성장형 산업 생태계 활성화 등 2대 전략을 마련키로 했다.

    혁신 기술·인재 확보와 관련해서는 올해부터 서버·모바일·엣지 분야 NPU(신경망 처리 장치), 미래 신소자, 미세공정·장비, 2029년까지는 초고성능·초저전력의 '차세대 인공지능 반도체(뉴로모픽 3세대)'를 개발할 계획이다.

    또한 데이터댐 인프라와 광주 인공지능 클러스터 등 공공·민간 분야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에는 인공지능 반도체를 시범 도입키로 했다. 아울러  기업과 정부가 1:1 투자하는 인공지능 반도체 아카데미 사업을 신설해 고급인재 3000명을 양성할 계획이다.

    혁신성장형 산업 생태계 활성화와 관련해서는 2030년까지 수요 맞춤형 인공지능 칩 50개를 출시하고 팹리스-IP 기업간 공동 R&D와 디자인하우스의 팹리스(Fabless) 협력 등을 지원한다.

    또 우수 R&D 성과에 부처 후속 지원 역량을 모으는 'R&D 성과 이어달리기 협의회'를 운영하기로 했다.

    혁신성·선도성이 높은 R&D 성과를 주기적으로 발굴하고, 실용화·사업화 등 구체적인 성과가 예상되는 잠재력 높은 성과를 선정한다. 선정된 성과별로 후속 R&D, 혁신조달 등 공공수요 연계, 제도개선, 투자·융자 지원 등 성과에 따라 필요한 맞춤형 후속 지원을 추진한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인공지능 반도체는 4차 산업혁명,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반도체 시장을 바꿀 게임 체인저이자 시스템반도체 분야의 핵심성장 엔진”이라며 “지난 20년간 우리 수출과 경제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해 온 반도체 산업 역량을 바탕으로, 메모리반도체 초격차 유지 및 인공지능 반도체 신격차를 창출해 2030년 종합 반도체 강국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