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설팅 감사’에 초점 맞춰 기관 발전 가능성 타진병원·연구소 등 의학원 내 5개 기관 소통구조 정립 부족한 ‘감사인 수’ 확대는 숙제, 단계적 증원책 필요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기관인 한국원자력의학원은 다소 복잡한 조직체계를 갖고 있다. 원자력병원, 방사선의학연구소, 국가RI신약센터,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 동남권원자력의학원까지 총 5개 기관이 한데 묶여 있다.병원과 연구소가 동시에 존재하고 직역별로 전문화된 특성이 강조된다. 한쪽에서는 진료와 수술이 진행되고 다른 한쪽에서는 연구자들이 신약개발 연구를 한다. 또 방사선 재난 대응을 위한 방법도 모색한다.하나의 기관이지만 내부적으로는 다양한 업무와 조직문화가 만들어진 특수한 곳이다. 결국 각자의 영역을 존중하면서 융합과 소통의 체계를 형성하는 것이 원자력의학원의 숙제다. 과거의 명성을 되찾기 위해서는 이러한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는 진단이 나왔다.최근 본지와 만난 강정구 원자력의학원 감사는 “기관의 전문성을 살리면서 올바른 방향으로 성장하기 위한 기틀을 만들어야 한다는 의지를 다지고 있다. 감사이기 때문에 기관을 견제하고 문제를 지적하는 영역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그는 청와대 국가안보실 국가위기관리센터 선임행정관, 국회의장실 정무비서관 등을 거쳐 지난달 원자력의학원 감사로 임명됐다. 이러한 경험을 토대로 향후 2년간 조직 내 긍정적 문화를 조성하는데 기여하겠다는 포부다.강 감사는 “하나의 기관이면서도 다섯 개의 기관이 모여있는 구조다. 각기 다른 영역에서의 업무를 수행하다 보니 부서 간 칸막이가 존재한다. 벽을 허물고 변화하는 흐름에 부합할 수 있도록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라고 다짐했다.이를 위해 ‘컨설팅 감사’에 초점을 맞춰 업무를 진행할 예정이다. 그간 원자력의학원 감사실은 민원인에 의한 특별감사 등을 통해 조직 내 문제를 강도 높게 비판하고, 직원징계 수위가 다소 강했던 곳으로 분류되곤 했다.그는 “비리 등 문제가 발생할 경우, 좌시하지 않겠지만 이 영역에 함몰되지는 않을 것이다. 기관의 역할이 제대로 수행되고 있는지, 발전적인 형태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어떤 부분이 개선돼야 하는지 등 고민을 이어갈 예정이다. 큰 그림을 보고 움직일 것”이라고 밝혔다.일례로 이달 내 ‘코로나19 감사’를 준비하고 있다. 공공기관이면서도 확진자를 수용할 수 있는 음압병상을 갖춘 병원이기 때문에 감염관리 차원에서 빈틈은 없는지 점검하는 기회를 갖겠다는 것이다.강 감사는 “임직원 모두가 노력하고 있지만, 감염관리는 한순간 방심이 나비효과를 일으킨다. 2차 감염, 원내 감염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를 견고하게 형성하기 위한 목적이다. 현재 외부 전문가를 모셔 근 시일내 감사에 착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그는 “출중한 개개인의 능력을 인정하면서 조직도 같이 성장하는 방안에 대해 지속적인 고민을 이어갈 것이다. 이 숙제가 단계적으로 풀리면 명성이 자자했던 과거의 모습을 되찾는 기회도 생기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과기정통부 산하 감사인수 ‘최하위’, 증원 필수원자력의학원은 강정구 감사를 포함해 총 7인의 감사인이 업무를 보고 있다. 앞서 언급했듯 5개 기관이 모여있는 다소 복잡한 조직 체계인데, 인력 자체가 부족하다.현 정부는 공공기관 정원 수 대비 1%를 감사인으로 배치시키는 것을 권고하고 있다. 그런데 과기정통부 산하기관들의 감사인 수 평균은 0.75% 수준이다. 그 중 최하위권인 원자력의학원의 경우는 0.39%에 머물러 있다.권고 기준상으로 보면, 7명에서 18명으로 감사인이 확대돼야 한다. 중장기적으로 이 문제를 푸는 것이 중요하다는 진단이다.강 감사는 “기관이 발전하려면 감사실 기능이 확대돼야 하는데, 아직 부족한 부분이 많다. 태릉에 위치한 본원은 물론 부산에 있는 동남권원자력의학원까지 담당해야 하는데, 지금 인력으로는 역부족이다”라고 말했다.이어 “단계적으로 감사인수를 확대 개편하는 방향으로 중지를 모아야 할 때다. 권한을 확보하기 위해 인력을 증원해달라는 요청이 아니라 정책 기조에 부합하는 형태로의 변화를 만들어가야 하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그는 “수십 년간 고착화된 조직문화를 개선한다는 의미에서 감사인 확대는 선결과제 중 하나다. 기관의 특수성으로 인한 고립과 분리 구조에서 탈피하고 융합과 소통을 위해 필요한 부분”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