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보호자의 하소연, “갈 곳도 안 알려주고 퇴원만 강요” 중앙보훈병원 재활병동 ‘코로나 전담 120병상’ 전환과정서 마찰음 보훈처·보훈공단, “138명 중 128명은 해결… 남은 민원도 조율점 찾을 것”
-
정부는 코로나19 ‘3차 대유행’이 확산됨에 따라 공공병원 병상 일부를 비워 코로나 전담치료에 쓰기로 했다. 늘어나는 위중증 환자를 수용하기 어려운 상황에 부닥쳤기 때문이다. 그러나 준비과정 없이 급하게 병상 전환이 이뤄지다보니 기존 입원환자의 피해도 만만치 않다.실제 국가보훈처 산하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중앙보훈병원이 재활병동 187병상 중 120병상을 코로나 전담병상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다. 현재 138명의 입원환자 대부분을 설득했지만, 아직 일부 환자는 아직 갈 곳이 없어 남아 있다.16일 중앙보훈병원 재활병동에 입원 중인 1급 장애환자의 보호자 A씨는 본지를 통해 “병원에서 막무가내식으로 나가라고 종용하고 있다. 목에 튜브를 꼽고 석션을 해야 하고 콧줄을 달아 식사를 하고 있는 와상환자를 갈 곳도 알려주지 않고 나가라고 한다”고 호소했다.지난 12일부터 병원의 압박은 계속됐다. 어제(15일) 오후 3시까지 타 병원으로의 전원조치를 종용했다.
-
병원이 A씨에게 보낸 문자와 공문서에는 ‘코로나19 대유행 대비 병상확보 명령에 따라 감염병관리기관으로 지정됐다. 위 기한까지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관련 법에 따라 전원조치될 수 있음을 알려드린다’라는 내용이 담겼다.코로나 치료 병상확보는 현시점 가장 중요한 문제이지만, 기존 입원환자를 강압적으로 내쫒으면서 만드는 것은 논란의 여지가 크다.복지부도 코로나 전담 병상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기존 입원환자는 원내에 다른 병상으로 옮기는 것을 원칙으로 삼고 있다. 다른 병원으로의 전원은 입원환자에게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A씨는 오늘(16일)도 버티고 있다. 그는 “일부 의료진의 막말도 있었다. 무작정 나가라도만 하니 갈 곳이 없다. 갈 곳이라도 알아봐주고 조정을 해줬으면 이해라도 하겠지만 지금 당장 움직이지도 못하는 환자를 어떻게 돌봐야 하는지 막막하다”라고 하소연했다.소위 ‘코로나 난민’이 된 공공병원 일부 입원환자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이와 관련 국가보훈처 관계자는 “기존 138명의 입원환자 중 128명은 보호자 동의 하에 원내 이동 및 전원 조치를 마무리했다. 지금도 설득 작업은 진행 중이다. 일부 민원이 남아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보훈공단 관계자는 “시대적 상황이 위중하다보니 정부 정책에 부합하는 형태로 코로나 병상을 만들고 있다. 이 과정에서 설득이 어려운 환자가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다. 최대한 노력해 조율점을 찾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