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산업단지 입주사업체 이동경로 연구' 발표입주업체, 수도권과 1시간 이내 근거리 이동 선호"이전 촉진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적 노력 필요"
  • ▲ ⓒ국토연구원
    ▲ ⓒ국토연구원
    최근 5년간 산업단지 입주기업이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이전한 비율이 2.4%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토연구원은 22일 워킹페이퍼 '신규 산업단지 입주사업체의 이동경로에 관한 연구'를 통해 신규 산업단지 입주 사업체의 신설 및 이전 비율과 이동거리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신규 산업단지에 입주하는 사업체를 대상으로 한 최초의 연구다. 

    분석결과 신규 산업단지 입주 수요의 80%가량이 지역내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산업단지에 신설 또는 이전을 통해 입주한 비율은 각각 28.0%, 72.0%로 분석됐으며 동일 시·도 및 시·군·구에서 이전한 비율은 각각 51.2%, 33.4%로 조사됐다.

    김석윤 연구원은 "신규 산업단지에 입주한 사업체의 절반가량이 해당 산업단지가 조성된 시·도 또는 시·군·구에서 근거리 이동을 통해 입주했다"며 "신설을 통해 입주한 경우에도 대부분 본사와 사업체의 소재지가 동일 시·도로 분석된 점을 고려하면, 결국 신규 산업단지 입주 수요의 80% 가량이 지역내에서 발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수도권 사업체의 비수도권 이전 수준은 매우 미미하며 비수도권에서 수도권 소재 사업체를 유치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으로 파악됐다.

    실제로 최근 5년간(2015~2019년)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이전한 경우는 2.4%에 불과하고,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이전한 경우는 이보다 낮은 1.2%로 확인됐다.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이전한 사업체 중 절반 가량은 충청권으로 이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김 연구원은 "비수도권에서 체감하는 수도권 사업체의 이전 비율은 더욱 낮을 수밖에 없고, 충청권을 제외한 비수도권의 경우는 수도권에서 사업체를 유치하는 것이 극히 어렵다고 봐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밖에도 신규 산업단지로 이전한 사업체들의 평균이동거리는 21.9㎞로 분석됐다. 경기와 인천의 경우 평균이동거리가 대전을 제외하면 가장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부분의 이전 사업체들이 지역내에서 1시간 이내 근거리 이동을 통해 산업단지로 입주하며 대다수 수도권 소재 기업들은 비수도권으로 이전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김 연구원은 "지역경제 활성화 및 역외 기업 유치와 지역 산업 공간의 효율적 조정을 위한 정책수단으로서 산업단지의 역할은 여전히 매우 중요하다"며 "중앙정부 차원에서 국토의 균형있는 발전과 지역의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사업체(기업)의 이전을 촉진시키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지속적으로 요구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