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홍성군 ESS 설비서 화재 발생코나 리콜 폐배터리, ESS 재활용 추진 발목 가능성11일 美 대통령 거부권 행사 시한 앞두고 주요 변수 작용 전망도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그동안 잠잠했던 에너지저장장치(ESS) 설비에 또 다시 화재가 발생하면서 안전 관리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현대자동차 코나 리콜로 대규모로 발생할 폐배터리에 대한 재활용 방안 마련이 정부 주도로 추진 중인 가운데 또 하나의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아울러 미국 시장에서 첨예하게 대립해 왔던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논란 역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됐다.

    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전날 오후 충남 홍성군 광천읍 가정리의 한 태양광시설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이 시설에 사용된 ESS는 LG에너지솔루션(옛 LG화학)에서 제조된 배터리가 탑재된 것으로, 지난 2018년 설치한 조양 태양광 7, 8, 9호 제품 중 7호제품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2월 ESS 화재와 관련, 배터리 셀 문제가 아니라는 입장을 내놨지만 논란은 지속돼 왔다. 2017년 8월부터 1년9개월 간 ESS 설비에서 연이어 발생한 화재 23건중 14건이, 지난해 6월 정부 발표 이후 발생한 추가 화재 3건 중 2건의 배터리 제조사가 LG였다.

    이후 외부 전기 충격으로부터 배터리를 보호하기 위해 모듈퓨즈, 서지 프로텍터, 랙퓨즈 등 안전 장치를 설치 등 적극적인 대안 마련을 통해 이후부터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아 왔다.

    하지만 이번에 또 다시 화재가 발생하면서 배터리 안전성에 대한 논란은 피할 수 없게 됐다.

    우선 코나EV 리콜로 발생하는 폐배터리를 ESS에 활용할 것으로 알려지는 만큼, 향후 안전성에도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코나 1대당 64kW(킬로와트)의 배터리가 탑재된 점을 감안하면 교체 예정인 총 배터리량은 약 5.2GW(기가와트)에 달한다. 우선적으로 ESS에 적용될 것으로 보이는데, 코나 화재로 안전에 대한 의문이 가시지 않은 만큼 우려의 시각이 나온다. 

    결국 가뜩이나 위축된 국내 ESS 시장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밖에 없게 됐다. 한국 ESS협회에 따르면 ESS를 갖춘 태양광발전소는 매각이 어렵고 제대로 가동도 못하는 등 피해만 눈덩이처럼 늘고 있다.

    ESS 신규사업장도 2018년 973개소에서 2019년 476개소, 2020년에는 405개로 줄어든 상황이다. 신규설비 용량 역시 2018년 3.7GWh에서 2019년 1.8GWh로 감소했으며 지난해 하반기 ESS 수주물량은 예상치보다 90% 이상 감소한 상태다.

    반면 국내와 달리 글로벌 시장에서는 ESS 산업이 급성장 중이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의하면 글로벌 ESS 시장은 2025년 86.9GWh 규모로 연평균 33% 성장할 전망이다. IHS마킷도 2021년에만 10GW 규모의 ESS 설비가 글로벌에 새롭게 설치될 예정이고 이 중에서 절반이 미국에 추가될 것으로 예측했다. 

    잇따라 발생하는 화재는 국내 배터리 업체들의 글로벌 ESS 시장 진출을 어렵게 할 가능성이 클 수 밖에 없다.  

    이와 함께 오는 11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만료 기한을 앞둔 상황인 만큼 배터리 안전성이 주요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앞서 미국 ICT는 영업비밀 침해 관련 LG에너지솔루션의 손을 들어줬다. ITC가 지난 2월 SK이노베이션의 미국내 배터리 수입을 10년간 금지하는 판결을 내린 것. LG에너지솔루션의 영업비밀을 침해한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셀, 모듈, 팩 및 관련 부품·소재가 미국 관세법 337조를 위반했다며 ‘미국 내 수입 금지 10년’을 명령했다. 

    그러나 특허침해의 경우 ITC가 SK에 손을 들어주면서 상황은 반전된 상황이다. ITC는 세부적으로 분리막 코팅과 관련한 SRS 517 특허 건에 대해 특허의 유효성은 인정했지만 SK가 특허를 침해하지는 않았다고 결정했다. 나머지 3건은 특허에 대한 유효성이 없다고 판단했다. 사실상 SK배터리 기술의 독자성이 인정된 셈이다. 

    이런 상황에서 연이어 발생하고 있는 배터리 화재로 안전성에 우려가 제기되면서 국내 업체 간 배터리 시장 쟁탈전에 또 다른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지난해 4월 미국 애리조나주에서 국내 배터리를 사용한 ESS 시설 화재 발생으로 안전에 대한 관심도 증가한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LG 배터리를 탑재한 제너럴모터스(GM)와 현대차의 전기차에서 잇따라 화재가 발생해 리콜했다는 점에서 공익적 차원에서 공급처를 다변화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만큼 향후 미국 대통령 거부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편 바이든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하면 ITC가 내린 ‘10년간 SK 배터리 미국 수입 금지’ 결정 자체가 무효가 돼 SK는 기사회생이 가능해 진다. 하지만 거부권 행사 없이 시한이 지나가 버리면 양사간 소송전은 장기화될 수 밖에 없다. 합의금을 놓고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의 입장차가 뚜렷한 만큼 빠른 시일에 결정이 이뤄지기 힘들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