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 프로세서 등 양자 컴퓨팅·통신·센서별 도전적 원천기술 개발 강화50큐비트급 한국형 양자컴퓨팅 시스템 조기 구축
  • 정부가 양자 프로세서 등 양자 컴퓨팅·통신·센서별 도전적 원천기술 개발을 강화하고 양자 핵심 연구자를 현재 150명 수준에서 1000명까지 확대하는 등 양자기술 연구 개발에 힘을 싣는다.

    정부는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장관이 주재하는 제17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고 '양자기술 연구개발 투자전략'을 확정했다고 30일 발표했다.

    양자 기술은 양자 고유의 특성을 활용해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는 초고속연산(양자컴퓨팅), 초신뢰 보안(양자통신), 초정밀 계측(양자센서)을 가능하게 하는 혁신기술이다. 미래 산업 경쟁력의 핵심기술로서 산업·경제 전반에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특히, 양자컴퓨팅의 경우 현 디지털컴퓨터보다 30조배이상 빠른 연산이 가능해 산업 전반에 새로운 가능성과 기회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해킹이나 정보탈취를 원천 차단해 고신뢰 통신보안을 가능케 한다. 양자센서는 장거리‧초정밀 측정으로 다양한 군사적 활용이 가능해 안보 측면에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질 전망이다.

    양자기술은 산업·안보적 파급력으로 반도체, 인공지능(AI) 등에 이어 미래 전략기술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미국은 양자기술을 지난 2018년부터 안보를 위한 전략기술로 지정하고 독보적 기술우위를 바탕으로 주도권 유지 전략을 추진 중이다. 

    중국도 양자굴기를 표방하고 양자통신분야에서 우위 선점에 이어 양자컴퓨팅, 양자센서 분야에서도 미국을 빠르게 추격 중이다. 

    일본은 양자기술을 인공지능, 바이오와 더불어 3대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하고 주요 선도국과의 기술 협력을 강조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이미 10년 이상 꾸준히 투자해온 양자기술 선도국에 비해 기술수준 및 R&D 투자규모 등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미국 대비 우리나라의 양자기술은 약 81.3% 수준으로 국내 전체 ICT 기술내 최하위 수준이다. 양자기술 분야에 대한 정부 R&D 투자(전용사업 기준)도 2019년 106억원에서 2021년 326억원으로 확대했으나 여전히 선도국 대비 크게 미흡한 실정이다.

    다만, 양자기술은 본격 사업화 이전 단계로 지배적 기술이 정립되지 않아 추격의 기회가 있는 만큼 우리나라의 강점인 ICT인프라, 반도체 역량 등을 활용해 총력 대응한다면 추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비전을 '디지털을 넘어 퀀텀의 시대로' 정하고 '2030년대 양자 기술 4대 강국 진입'의 목표 하에 ▲도전적 원천연구 강화 ▲전문인력 확보 및 국내외 협력기반 구축 ▲특화 연구 인프라 확충 및 연계‧고도화 ▲양자기술의 활용 및 산업 혁신 촉진 등 4대 중점전략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세부적으로는 양자컴퓨터 상용화에 필요한 양자프로세서, 알고리즘, 오류보정, 응용 SW 등 4대 핵심 요소기술에 집중 투자하고 50 큐비트급 한국형 양자컴퓨팅 시스템을 조기 구축해 단계적으로 고도화할 계획이다.

    또한 선도국에 근접한 경쟁력을 갖춘 유선 양자암호통신 분야는 성능고도화 및 국제표준 선점 등 시장성 강화를 통해 기술우위를 확보한다. 무선암호통신은 유선 양자통신의 한계를 보완하여 커버리지를 확장하는 방향으로 기술 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다.

    국내 수요가 분명한 센서에 대해서는 수요연계형 R&D를 추진하여 상용화를 촉진하고 연구·산업의 선순환 고리를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2030년 양자 핵심인력 1000명 확보를 목표로 이론-실습-(기업)프로젝트를 통합 제공하는 박사급 전문과정을 개설·운영하고, 선도국에 젊은 연구자를 파견해 프로젝트·교육 등에 참여 및 해외 석학 초빙을 계획 중이다.

    더불어 산학연 역량 결집을 통한 협업생태계 구축을 위해 양자분야별 전문인력·시설을 보유한 출연(연) 중심으로 허브를 지정하고, 대학과 산업계가 협력기관으로 참여해 연계·협력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산학연 공동 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방침으로는 고비용·고사양 장비 및 최상의 공정기술을 보유한 양자 전용 팹(파운드리)을 신속히 구축하고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검증 지원을 위해 양자컴퓨터를 모사하는 양자가상머신을 구축‧제공할 계획이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글로벌 기술경쟁 시대에 양자기술 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것"이라며 "우리가 강점을 가지고 있는 ICT 인프라, 반도체 역량 등을 활용해 민-관이 함께 총력 대응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전략에 따라 각 부처에서는 사업을 기획하고 과학기술혁신본부는 이를 검토해 2022년 주요 R&D 예산 배분·조정 시 반영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