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종률 12% 속도 내지만… 신규확진자도 600명대 후반 인도(델타)변이 확산 등 우려, 견고한 방역체계 유지 필요성박양동 회장 “성급한 인센티브 대신 고위험군 접종률 향상 고민해야”
  • ▲ ⓒ뉴데일리DB
    ▲ ⓒ뉴데일리DB
    정부가 방역 완화를 목표로 백신접종 인센티브를 성급하게 도입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집단면역과 ‘노마스크’를 향한 방향성은 좋은데, 여전히 일일 신규확진자가 600명대에 이르는 데다가 산발적 집단감염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방역 완화가 아닌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하는 예방접종 재설계가 중요한 시점이라는 진단이다. 

    2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에 따르면 전날 1차 신규 접종자는 56만5377명으로 집계됐다. 만 64∼74세 일반인 등의 접종과 ‘노쇼 접종’이 진행되면서 속도가 빨라져 전체 인구의 12.4%를 넘겼다. 

    반면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집계자료에 따르면 2일 0시 기준으로 신규확진자가 677명으로 전날보다 218명 늘었다. 전국 곳곳에서 크고 작은 집단감염이 잇따르면서 하루 확진자 수가 400∼700명대를 오르내리고 있다.

    백신 접종은 늘어나지만 국내 항체보유율은 0.27%로 매우 낮은 상황이기 때문에 집단면역에 이르기엔 역부족인 상황이다. 결국 접종률이 올라가도 확진자를 억제하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다. 

    게다가 ‘변이’라는 위험요인이 전 세계적으로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일례로 1차 접종자 수를 59%를 넘긴 영국은 오는 21일부터 코로나 관련 봉쇄 조치를 해제하려고 했지만, 인도(델타) 변이 확산으로 고민에 휩싸였다. 확진자 수는 연일 3000명대를 기록 중이다.

    국내에서도 ‘인천 남동구 가족·학교 집단감염’ 사례에서 인도 변이가 확인됐고 수도권에서도 소규모 감염이 발생해 조용한 전파가 시작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면 1차 접종자에 대한 방역 완화 조치는 안일한 대응으로 이어져 확산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는 진단이다.

    현재 국내 백신접종 체계에서 가장 큰 문제는 고위험군에 대한 접종률을 최대한 올리고 단계적으로 젊은 층으로 확산하는 방식이 중요한데, 이를 준용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즉, 사전예약을 하지 않은 60세 이상 약 ‘30%’의 인구에 대한 접종 유인없이 전반적으로 접종율을 올리고 방역 완화 인센티브를 발동하는 것에 대한 위험성이다. 

    이와 관련 박양동 대한아동병원협회장은 “백신 접종 우선순위 원칙이 바뀌어서는 안 된다”며 “접종 인센티브를 원하는 청장년층 접종자 비율만 올려서는 고위험군을 보호하기 어렵다”고 우려했다.

    특히 60~74세에서 부작용 우려 때문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예약하지 않는 비율이 높은데, 이들에게 화이자, 모더나와 같은 mRNA 백신을 고위험군에 먼저 공급하는 방식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박 회장은 “아직은 방역 완화를 논하기엔 너무 이른 감이 있다”며 “이미 영국 등에서는 백신 접종률만 믿고 봉쇄를 풀려고 했는데 변이 확산으로 상황이 꼬이게 된 것을 정부도 명확히 인식하고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