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은 총재 11일 창립기념식서 통화정책 언급 주목가계부채에 관한 정부 및 한은 심각성 크게 보고 있어정부 온갖 대출 규제 안먹히고 금융시장 부작용 우려
  •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시점이 빨라질 전망이다. 미국 정부가 금리인상을 위한 군불떼기에 들어간 데다 한은 역시 국내 경기 회복과 인플레이션 우려 등으로 지난달 처음으로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밝혔다. 

    또 가계의 이자부담 확대를 감내하고서라도 가계부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 인상을 서두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주열 한은 총재가 오는 11일 한은 71주년 창립 기념식서 향후 통화정책방향에 대해 언급할 지 주목된다. 

    ◆ 정부 규제 안먹히는 가계부채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달 27일 금융통화위원회서 기준금리를 0.50%로 동결한 뒤 "연내 금리 인상 여부는 경제 상황 전개에 달려있다"고 했다. 이어 "금리 인상을 서둘러서도 안되지만 지연됐을 때 부작용이 크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총재가 밝힌 부작용의 대표적인 예는 가계부채다. 이 총재는 "가계부채가 상당히 가파른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어 우려스럽게 보고 있다"면서 "금리를 인상하면 가계부담이 커지는 것은 불가피하지만 나중에 그것을 조정하려면 더 큰 대가를 지불해야돼 가계부채 증가세를 억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 연말부터 은행권에 강화된 대출규제를 도입했으나 올 1분기말 가계빚이 1765조원을 돌파하며 빚투(빚내서 투자)·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 행진은 계속되는 양상이다.

    특히 금융당국이 시중은행 대출을 조이자 제 2금융권으로 대출이 번져나가는 풍선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1분기말 보험회사의 가계대출 잔액은 124조9000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1조8000억원이나 늘었다. 

    ◆ 美 금리 인상 군불떼기… 자본유출 우려

    미국의 금리인상 군불떼기도 한은의 금리인상 시계를 앞당기고 있다.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은 6일(현지시간)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회의를 마친 뒤 블룸버그통신과 인터뷰서 "금리를 약간 더 올려도 미국 사회와 연방준비위원회(Fed) 관점에서 실질적으로 플러스 요인이 될 것"이라 밝혔다. 그는 한 달 전에는 "경제가 과열되지 않게 금리를 올려야 할 지도 모른다"고도 했다. 

    금리 인상의 열쇠를 쥔 제롬 파월 Fed 의장은 신중하다. 섣불리 금리 인상에 나섰다가 경기회복에 브레이크가 걸릴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다만 물가상승 압력과 빠른 코로나19 백신 접종률로 경기 상승 속도가 빨라질 수 있어 통화정책 정상화는 시간문제라는 관측도 나온다. 

    미국이 금리 인상을 앞당기면 우리 경제 역시 자본유출 우려로 금리인상을 고민할 수밖에 없다. 

    한국경제연구원은 '미국 금리인상 가능성과 금리 인상의 경제적 영향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한미 간 금리차이로 한국시장서 외국인 투자자금의 순유출 규모는 16억~18억 달러(약 1조8000억~2조원)에 달할 것"이라고 추산했다. 

    한경연은 한국과 미국이 나란히 기준금리를 올릴 경우, 연간 가계대출 이자가 25조6000억원~28조8000억원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경우 가구당 이자부담은 연간 220만원~ 250만원 규모로 늘어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