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약‧체온계 등 가정상비약 수준의 구호물품거리 노숙인들에겐 재택 방치 넘어선 거리 방치政 “의료인력 확충”… 사람 뽑는 데만 두 달 걸려
-
정부가 1월 3일부터 적용될 새로운 거리두기 방침을 발표하면서 재택치료를 확대 강화하기로 했다. 연일 위중증 환자가 1000명대를 넘으면서 병상 부족 문제가 현실이 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재택치료 활성화 이면에 미흡한 체계로 인한 부작용이 도사리고 있다. 결국 내실화 추진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구성품 변하지 않은 재택치료키트… 그마저도 늦게 도착재택 치료키트 물품은 ‘산소포화도 측정기‧체온계‧소독제‧감기약’ 등으로 구성돼 있다. 이중 가장 중요한건 코로나19 확진자의 중증 상태를 확인하는 산소포화도 측정기다. 산소포화도를 정기적으로 체크하지 못하면 폐렴으로 진행되는 상황을 확인 못해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재택치료키트가 확진 후 도착까지 3일 이상 걸리는 등 볼멘소리가 쏟아지고 있다.최근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재택치료를 받은 서울시민 이(34)씨는 “하루에 2번 열을 재서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해야 하는데 키트가 늦게 도착해 입력하지 못해 불안했다”고 말했다. “또 열이 높았던 때가 여러 번 있었는데 다시 측정해보라는 형식적인 대답만 돌아왔다“고 전했다.또다른 서울 시민 최(28)씨도 "가정에서도 흔히 쓰는 상비약이 다였다"며 “재택키트가 부실하다고 느꼈다”고 말했다. 또 “매일 두 번 있는 모니터링도 형식적이라고 느꼈다”고 밝혔다.
-
◆ 쪽방촌, 고시원, 노숙인들, 여전한 재택 치료 사각지대지난달 29일, 정부는 입원요인이 없고 증상이 심하지 않은 70세 미만의 확진자들에게만 해당됐던 재택치료 대상을 모든 확진자로 확대한다고 밝혔다.하지만 재택치료가 불가능한 대상자들은 다인가족 중 1인 확진자 뿐만이 아니다. 돌봄이 필요한 독거노인, 기타 거주환경상 재택치료가 불가능한 경우 등이 있다.이에 정부는 30일 입원 요인이 있거나 감염에 취약한 주거환경에 있는 확진자만 예외적으로 병상을 배정한다고 밝혔다.하지만 쪽방이나 고시원, 거리 노숙 등 비적정 주거 시설에 거주하는 홈리스들은 사실상 재택치료가 불가능한 현실이다.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이 많아 접촉자 발생 우려가 높고 통신수단이 없는 경우 모니터링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확대된 방역패스도 홈리스들에겐 어려운 문제다. 백신접종률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이틀에 한 번 꼴로 PCR검사를 받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2021 홈리스 추모제 공동기획단에 따르면 지난 10월부터 이달까지 서울 영등포, 용산, 중구, 종로, 동대문 등 노숙인 시설이 밀집한 곳에서 발생한 홈리스 감염 확진자는 170명을 넘어섰다. 이는 지난 1월 발생한 서울역 노숙인 시설 발(發) 집단 확진자 100여명을 웃도는 수치다.◆ 의료인력 새로 뽑으려면 최소 두 달… 재택치료자 관리까지 오히려 업무 가중재택치료 확대가 오히려 일선의 의료진들의 업무 부담도 가중시킨다는 지적도 있다. 입원 환자를 관리하기에도 부족한 인력으로 재택치료 환자 관리까지 담당하다보니 의료진들의 피로가 누적되는 상황이다. 비대면 치료가 세심하게 환자를 관리할 수 없다는 심적 부담도 의료인들의 몫이다.이에 정부는 의료 인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군의관과 공중보건의의 훈련을 단축·유예해 중환자 진료 병원에 배치하고, 중증환자 전담간호사 약 250명의 교육이 끝나면 중환자실에 투입하기로 했다.하지만 일선 간호사들은 “새로 사람을 뽑고 트레이닝하기까지 최소 2달은 걸린다”며 “그 시간까진 업무 부담은 오로지 현장 간호사들의 몫”이라고 밝혔다.한편, 재택치료 원칙을 발표한 지난달 29일 재택치료 인구가 8990명이었던 것과 비교해 이날 0시 기준 재택치료 대상자는 총 2만6695명으로 약 3배 가까이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