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보험사 전환노력 무위자기부담비율 발목장기화 불가피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4세대 실손보험 전환율이 0.7%에 그치고 있다. 점유율은 고작 1.5%이다.

    전환 실적을 경영실태평가에 반영하겠다는 당국의 으름장도, 보험사의 대대적인 전환독려도 먹히지 않는 모습이다.

    억지로 보험 전환을 강제할 수 없는데다, 기존 실손 대비 자기부담비율이 20~30% 가량 높다보니 가입자들의 외면은 계속되고 있다.


    ◆ 당국·보험사 전환노력 계속

    9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최근 실손 판매를 중단한 보험사들까지 4세대 판매에 나서고 있다.

    미래에셋생명과 푸본현대생명은 오는 10월까지 1~3세대 가입자가 4세대로 전환하면 1년간 보험료 50%를 할인한다. KB생명, AXA손해보험도 상반기 중 4세대 실손 판매를 검토하고 있다.

    4세대 실손전환을 적극 독려중인 금융당국의 움직임에 궤를 맞추는 모습이다.

    기존 보험사들도 설계사 시책을 올리는 등 전환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현대해상은 450%, DB손해보험은 400%까지 올렸다.

    ◆  자기부담비율 부담… 옛실손 선호 여전

    그러나 정작 4세대 실손 가입률은 극도로 부진한 모습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1분기말 기준 4세대 실손의 점유율은 1.5%에 그쳤다. 

    2세대(2009년 10월∼2017년 3월 판매) 49.2%, 3세대(2017년 4월∼2021년 6월 판매) 24.6%, 1세대(2009년 9월까지 판매)22.1%와 여전히 격차가 컸다.

    올들어 손보사 4세대 실손 전환 건수는 21만여건으로, 전환율로 따지면 0.7%에 불과하다.

    4세대 출시 1주년이 되는 7월쯤 점유율 2%가 될 것이란 기대를 하지만 당국과 보험사가 그동안 쏟아부은 노력에 비하면 '고개숙인 수치'라는 평가다. 

    4세대 부진은 진료비 자기부담 비율이 가장 큰 이유다.

    구실손(1~3세대)의 경우 부담금이 아예 없는 경우도 있는 반면, 4세대는 보험료가 낮은 대신 자기부담비율이 기존 대비 20∼30% 가량 높다.

    비급여 진료를 계속 이용하는 고객들로서는 별다른 동기유발이 되지 않는다.

    또 4세대 실손의 경우 최대 300% 보험료 할증과 도수치료 등의 이용 횟수도 제한되다 보니 외면을 받고 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당국이나 업권이 설계사 등을 대상으로 적극 나서고 있지만 실적은 미미한 상황"이라며 "전환주체는 고객인 만큼,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4세대 전환이 예상보다 장기화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또다른 관계자는 "구세대 실손의 경우 4세대 보다 비싼 보험료를 내고도 보험금을 안 타는 사람들이 많아 적자가 완화된 측면이 있었다"며 "4세대 전환시 수취보험료가 주는 형편에 보험사들의 적극성이나 전환노력도 늘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