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 쇼크-파업으로 시멘트 수급 차질시멘트 출하 재개에도 정상화에 1주일 소요레미콘노조 "운반비 27% 인상…운송거부 우려"원자재 쇼크에 있단 파업까지… 공기 지연 후유증 우려
-
정부와 화물연대가 '안전운임제'를 유지하기로 타협하면서 화물연대 총파업이 8일만에 마무리됐음에도 건설업계 시름은 아직 가시지 않고 있다.화물연대 파업 후유증이 남아있고, 여전히 철근과 같은 핵심 자재 수급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이다. 게다가 레미콘 운송기사들과 철근콘크리트연합회의 단체행동까지 예고됐다. 이들의 파업이 현실화하면 건설 현장에서는 '셧다운'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16일 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와 화물연대는 14일 밤늦게 진행된 5차 실무회의에서 극적으로 협상을 타결했다. 양측은 △컨테이너·시멘트 화물자동차 안전운임제 지속 추진 및 품목 확대 △안전운임제 시행 성과에 대한 국회 보고 △유가보조금 제도 확대 검토 및 운송료 합리화 협력 등에 합의했다.협상 타결로 화물연대는 15일 0시부터 집단운송 거부를 철회했다. 이에 시멘트 공장을 점거했던 화물연대 조합원들도 업무에 복귀하면서 제품 출하를 재개하고 있다.그러나 일선 건설 현장에서는 여전히 레미콘 공급이 빠듯해 골조공사에 차질을 빚고 있다. 파업 기간 시멘트 재고가 바닥나면서 레미콘 공급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이다. 레미콘은 전용 운송 차량인 벌크시멘트트레일러(BTC)로 전국 건설 현장에 공급된다. 이번 파업으로 멈췄던 현장 수요를 한 번에 채우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건설 현장에서 타설작업을 할 때 정해진 물량의 콘크리트를 한 번에 부어야 한다는 점도 공급난의 이유 중 하나다. 콘크리트가 부족하다고 나중에 다시 붓는 식으로 공사를 이어갈 수는 없다. 충분한 물량이 확보되기 전까지는 공사를 할 수 없는 셈이다.업계에서는 레미콘 수급 및 공사 정상화까지는 일주일가량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대형건설 A사 자재 담당자는 "일주일가량 공사 지연을 각오하고 있는데, 이미 공사 기간이 많이 늦어져 막막한 상황"이라며 "공기 지연에 따른 손실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더 큰 문제는 레미콘 차량 운송기사들의 모임인 레미콘운송노동조합과 철근콘크리트연합회가 내달 단체행동을 예고했다는 점이다. 골조공사 정상화에도 건설사들의 표정이 밝지 않은 까닭이다.일선 현장에서는 다음 주 골조공사가 재개되더라도 약 일주일 만에 다시 멈춰 공사 중단이 장기화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수도권 레미콘 운송 차량 차주 90% 이상이 속한 레미콘운송노조는 레미콘 회사들에 '운송료 27%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내달 1일부터 운송 거부에 나선다는 계획이다.노조 측은 "최근 경윳값 급등 등을 고려할 때 큰 폭의 인상(지난해 8% 인상)이 불가피한 만큼 이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1일부터 가장 실효성 있는 쟁의 활동인 '운송 거부'로 맞설 것"이라고 말했다.앞서 화물연대 파업으로 골조공사가 멈춘 기간 건설사들이 창호 설치와 전기 설비 등 대체공사를 진행했기 때문에 다시 골조공사가 멈추게 되면 대체공사도 없는 셧다운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여기에 골조공사를 담당하는 협력사들은 철근콘크리트연합회 서울·경기·인천 지부도 하도급 대금 증액에 비협조적인 현장을 골라 내달 11일부터 작업을 중단하겠다는 계획이다. 총 83개 시공사 406개 현장이 영향권이다.게다가 내달부터는 장마도 예정됐다. 기상청은 서울과 수도권 등 중부 지역의 경우 평년 장마 기간을 6월26일부터 7월26일까지 31.5일로 보고 있다.건설사들은 이 기간을 공기에 미리 반영하지만, 장마철을 앞두고 골조공사가 중단된 만큼 운송 중단과 작업 거부가 현실화하면 공기를 맞추기 어려워질 것으로 보고 있다.대형건설 B사 관계자는 "장마철 이전에 레미콘 타설을 서둘러야 하는데, 이미 2주가량 차질이 발생했다"며 "지금까지는 공기에 큰 차질이 없지만, 운송 중단 등 추가적인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는 입주 지연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중견건설 C사 고위 관계자는 "자잿값 급등 여파가 만만찮은 상황에서 철근, 레미콘 등 각 노조가 동시다발적으로 총파업을 예고해 업계는 그야말로 울고 싶은 심정"이라며 "이미 도산 위기에 몰린 중소건설사들도 적지 않은 만큼 정부 대책이 절실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