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총파업 8일째…건설현장 '셧다운' 우려 '현실로' 시멘트출하량 90%↓·日 150억 손실…레미콘업체 '올스톱'
  •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가 집단운송거부에 들어간지 8일째를 맞은 가운데 이에 따른 피해가 결국 주택공급 차질로 이어지고 있다. 시멘트 운송이 막히면서 레미콘 공급이 중단되고 철근 등 건자재 수급에도 문제가 생겼기 때문이다.  

    14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화물연대 총파업으로 골조공사가 진행중인 일부 건설현장이 완전히 멈춰섰다. 화물연대는 지난 7일부터 한일시멘트 공장입구서 안전운임제 확대시행을 요구하며 총파업에 돌입했다. 

    파업여파는 산업계 전반으로 퍼졌고 건설현장에까지 번지면서 주택공급 일정에 빨간불이 켜졌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파업후 시멘트 출하량은 90%이상 급감했고 이로 인한 손실금액만 하루 150억원이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시멘트 공급중단에 따른 피해는 도미노처럼 레미콘업계로 번졌다. 수도권 주요 레미콘 업체들이 하루에 운송 받는 시멘트량은 특수차량 벌크트레일러(BCT) 30~40대지만 현재는 하루에 한 대분도 받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따라 삼표산업과 아주산업의 모든 공장이 지난주부터 가동을 멈췄고 유진기업도 2~3곳을 제외하고 생산을 중단했다. 
  • 엎친데 덮친격으로 레미콘 차량기사도 집단 움직임에 나섰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수도권 레미콘 운반차량 1만대중 9000여대 차주들이 소속된 전국레미콘운송총연합회(이하 전운련)는 레미콘 제조사와 운송료 협상에 실패할 경우 내달 1일부터 운송거부에 들어갈 계획이다. 

    전운련은 △회당 운송료 27% 인상(5만6000원→7만1000원) △요소수 100% 지급(월 6만원상당) △명절상여금 100만원 △근로시간 면제수당 100만원 등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진다. 

    건자재 수급에도 난항이 예고된다. 철근콘크리트연합회 서울·경기·인천지부는 하도급대금 증액요청에 비협조적인 건설사 공사현장에 내달 11일부터 공급을 전면 중단키로 한 공문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진다. 

    가뜩이나 연초 원자재가격 인상으로 한차례 곤혹을 치른 건설사는 이번 화물연대 파업까지 더해지면서 발등에 불이 떨어졌고 주택공급에도 차질이 예상된다. 

    익명을 요구한 한 건설업체 관계자는 "레미콘 공급중단으로 타설이 안되니까 나머지 공정도 다 뒤로 미뤄지는 실정"이라며 "주말쯤이면 전국 모든 골조작업 현장을 중단해야 되는 상황"이라고 하소연했다. 

    이정무 원베일리 부조합장은 "현장은 지난주부터 콘크리트 타설공사가 중단됐다"면서 "지난주 동안 거푸집설치 및 철근배근을 했고 오늘 전동 콘크리트 타설을 대기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 (파업으로 지장이 없는) 창호설치 등 내부 전기설비 공사를 하고 있다"며 "화물연대 파업이 빨리 종결됐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