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가계동향조사…가계소득 12.7%↑·소비 5.8%↑ 근로 5.3%↑·사업 14.9%↑…이전소득 44.9%↑·공적이전 61.5%↑소비지출 12년만에 최고 증가율… 인플레 여파로 실질소비 0.4%↑1분위 소득 16.5%↑ vs 5분위 11.7%↑… 39兆 추경 효과도빈부격차 4개 분기 만에 개선세 멈춰… 정부지원금 빼면 개선
  • ▲ 물가.ⓒ뉴데일리DB
    ▲ 물가.ⓒ뉴데일리DB
    올해 2분기 가계소득이 1년전보다 12% 넘게 늘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완화로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증가했다. 39조원에 이르는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 집행으로 공적이전소득도 증가했다. 다만 인플레이션(지속적인 물가상승) 상황에서 물가 상승분을 제외한 실질소득은 6.9% 증가에 그쳤다. 빈부격차는 4개 분기만에 개선세가 멈췄다.

    ◇2분기 가계소득 근로·사업·이전소득 모두 증가

    통계청은 18일 '2022년 2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올 2분기 전국 1인 이상 가구(농림어가 포함)의 월평균 소득은 483만1000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2.7% 증가했다. 1인 이상 가구 기준으로 통계를 작성한 2006년 이후 최대폭이다.

    근로소득은 288만7000원으로 1년전보다 5.3% 증가했다.

    자영업자 등이 벌어들인 사업소득은 92만7000원이다.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14.9% 늘었다.

    이전소득은 89만3000원이다. 44.9% 급증했다. 2차 추경을 통해 지급된 손실보전금 등 정부가 준 공적이전소득(67만9000원)이 61.5% 증가한 탓이다.

    재산소득은 3만3000원으로 1년전보다 22.9% 줄었다.

    물가 상승분을 고려한 실질소득은 6.9% 증가에 그쳤다.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61만9000원으로 조사됐다. 1년전보다 5.8% 증가했다. 2분기만 놓고 비교하면 2010년 이후 12년만에 가장 증가율이 높았다.

    의류·신발(12.5%), 교통(11.8%), 오락·문화(19.8%), 교육(11.1%), 음식·숙박(17.0%) 등에서 지출이 늘었다. 4월부터 사회적 거리두기가 풀리면서 외부활동이 늘고 학원의 대면수업이 재개된 게 영향을 끼쳤다는 해석이다. 반면 식료품·비주류음료(-1.8%), 주거·수도·광열(-3.3%), 가정용품 가사서비스(-9.4%) 등에선 지출이 줄었다.

    소득세·재산세 등 정기적으로 내는 세금을 뜻하는 경상조세는 2분기 6.0% 늘었다. 사회보험료 지출도 10.1% 증가했다.

    물가를 반영한 실질 소비지출은 1년전보다 0.4% 증가하는데 그쳤다. 소비지출이 5.8% 증가한 것은 가계 씀씀이가 늘었다기보다 물가가 치솟았기 때문이라는 의미다. 지난해와 2020년 실질소비 증가율은 각각 1.3%, 1.2%였다.
  • ▲ 빈부 격차.ⓒ연합뉴스
    ▲ 빈부 격차.ⓒ연합뉴스
    ◇5분위내 자영업가구 비중 역대 최대

    소득 분위별로 보면 저소득층인 1분위(소득하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12만6000원으로 나타났다. 1년전보다 16.5% 늘었다. 소득 증가는 근로소득(47.3%)이 견인했다. 1분위 평균 가구원수는 1.48명, 가구주 나이는 61.8세다. 고소득층인 5분위(소득상위 20%)가 3.25명, 50.7세인 점과 문재인 정부에서 가구소득 관련 통계에 1인·농림어가를 포함한 것을 고려하면 1분위 근로소득 증가는 60세이상 임시직 취업자수가 많이 늘어난 것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5분위는 소득이 1032만3000원으로 11.7% 늘었다. 1분기에 이어 5분위 소득이 1000만원을 넘어섰다. 근로소득(-4.7%)과 재산소득(-52.0%)이 각각 줄었으나 업황 개선으로 사업소득이 40.5% 늘고 정부 지원금을 받은 자영업자가 많아 이전소득이 108.4% 증가했다. 정부에서 주는 공적 이전소득은 165.4%나 급증했다. 2차 추경 집행으로 소상공인·자영업자에 대해 손실보전금 지급된 영향이다.

    5분위 가구중 자영업자 가구의 비중도 늘었다. 5분위에서 근로자외(자영업자·무직자) 가구 비중은 33.9%로 집계됐다. 1년전(24.7%)보다 9.2%포인트(p) 상승했다. 이는 통계 작성 이후 최대치다.

    빈부 격차는 4개 분기만에 소폭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분위별 빈부 격차를 보여주는 지표인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60배로 1년전보다 0.01배p 올랐다. 이 지표는 실질소득을 가구원 수로 나눠 1분위와 5분위를 비교한 것이다. 수치가 오르면 그만큼 소득격차가 벌어졌다는 얘기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지난해 3분기부터 3개 분기 연속 개선세를 보여왔다.

    그나마 정부지원금 효과를 제거한 균등화 시장소득(근로·사업·재산·사적이전소득) 5분위 배율은 11.49배로 1년전(12.51배)보다 1.02배p 내렸다.